[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

 1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
 2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2
 3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3
 4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4
 5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5
 6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6
 7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7
 8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8
 9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9
 10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0
 11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1
 12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2
 13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3
 14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4
 15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5
 16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6
 17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7
 18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8
 19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19
 20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기행] 충북지역 문화유적답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지 역

1. 대전 지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보은 지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Ⅱ. 인 물

1. 송준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 송시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신채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Ⅲ. 답 사 지

1. 동춘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남간정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3. 선병국 가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4. 법주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5. 화양구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6. 송시열 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7. 신채호 사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Ⅳ. 특 집

1. 전통 주택의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2. 사찰의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3. 미륵 신앙 이야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4. 송시열 이야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5. 조선 후기 사상계의 변화와 충청도 지역 사대부들의 위상 ▪ ▪ ▪ ▪ 35

Ⅴ. 지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본문내용
1. 대전 지역개관

대전은 차령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위치한 분지지형에 자리하고 있다. 동·서·남쪽에서 산지가 현저히 발달해 있는데 동쪽 방면은 동구 식장산 에서 부터 고봉산, 함각산, 개머리 산, 계족산 등의 줄기가 이어지며, 서북쪽으로는 금병산, 우산봉, 도덕봉, 백운봉 등 계룡산을 거쳐 형성된 산계가 논산시 두마면 까지 이어지고 있고, 남쪽으로는 보문산이 주봉이 되어 그 사이를 유등천이나 대전천과 갑천이 흐르면서 북쪽의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그 주변에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강과 그 주변에 구릉성 산지를 기반으로 대전지방의 사람들은 선사시대부터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삶을 이어왔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새 왕조는 새로운 국토를 결정하는데 크게 고심하였다. 조선의 새 국토는 대전 근교의 계룡산과 지금 서울의 무악 등이 물망에 올랐다. 이 가운데 계룡산이 가장 유력하였다. 태조의 계룡산 정도는 실현되지 못하였지만 계룡산은 풍수상의 신비성과 신도조성 등으로 인하여 이후 정감록을 비롯한 많은 전설을 남겨 신비의 영산으로 이 고장 사람들에 의하여 받들어졌다. 조선은 태종 13년에 전국의 군현제도를 새롭게 개편하였다. 이 때 대전지방은 고려 후기의 군현이 그대로 존속되어, 공주목의 임내였던 유성현과 덕진현은 폐현되어 공주목에 속하게 되었다.
일본은 대륙을 침략하기 위하여 부산에서 신의주를 잇는 간선인 경부철도를 부설하기 위하여 1898년 9월에 경부철도의 부설권을 얻었다. 대전은 경부철도의 중요한 통과 지점이었고 공사를 진행하는 중요한 기지이기도 하였다.1900년대 초 경부철도의 부설로, 대전은 오랜 전통을 지닌 한가한 농촌의 모습에서 근대 도시로 탈바꿈하는 신흥 도시로의 발전이 약속 되었다.
대전은 경부철도의 개통에 따라 점점 도시로 그 모습이 변하여 갔다. 일본이 조선을 강점하자 신흥도시로 발 돋움 하던 대전지방은 오랜 동안 공주·회덕·진잠 등의 지역을 포괄하는 몇 개의 군현 지역으로 내려오다가 1914년 일본인에 의해 추진된 지방 제도의 개편에 따라 대전군의 탄생을 보았다. 1932년에는 충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옮겨지고 1935년에는 대전부로 승격되어 이에 따르는 각종의 관청과 시설이 설치되어 급속한 도시의 발전을 보게 되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