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

 1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
 2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2
 3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3
 4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4
 5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5
 6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6
 7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7
 8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8
 9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9
 10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0
 11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1
 12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2
 13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3
 14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4
 15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5
 16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6
 17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7
 18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8
 19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19
 20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주거문화] 중국- 북경, 상해, 복건성의 주택유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중국 주택의 공간개념
3. 중국 전통 주택의 일반적 특징


Ⅱ. 북경의 사합원
1. 북경의 기후와 주거특징
2. 사합원
3. 사합원의 구조
4. 사합원의 공간특성
(1) 정방
(2) 상방
(3) 후조방
(4) 도좌방
(5) 수화문
(6) 이방과 화실
(7) 중정
5. 사합원 주거문화의 배경
(1) 중용적 사고와 풍수지리 사상
(2) 위계질서
(3) 내향성과 폐쇄성
6. 사합원 공간구성 원리
(1) 축(軸)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구성
(2)가족 제도에 따른 공간구성 및 배치
(3)자연과 공간구성

Ⅲ. 상해의 석고문
1. 상해의 주거형태
2. 상해주거의 발생배경 및 특징
3. 석고문의 탄생배경
4. 초기의 석고문
(1) 구조방식
(2) 주거
5. 후기의 석고문
(1) 구조방식
(2) 발생배경
6. 초기와 후기의 변화


Ⅳ. 복건성의 토루
1. 기본적 특징
2. 복건성의 지형 및 기후
3. 구성
4. 건축방식
5. 생활공간의 배치
6. 원형토루의 경제적 특징
7. 토루의 문화적 배경
(1) 객가인의 문화
(2) 방어적 특징
(3) 대가족 제도
(4) 유가의 예제와 남존여비사상


Ⅴ. 결론
1. 각 지역 주택의 유사성
2. 북부와 남부의 차이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주택은 인간 주생활의 기본단위이자 인간이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곳이며 한 지역이나 한 시대의 거울이 된다. 또한 그 시대의 모든 인간 생활의 집약된 표현체가 되고 그 시대의 사회상을 대변하기도한다. 장경호, 한국의 전통건축, 문예출판사, 1996, p.487
즉, 자연환경과 사회·문화적인 환경에 그 기본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위와 같은 이유로 중국의 가옥 문화에 대해 조사하려고 한다.
중국의 가옥은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를 띄는데 사용재료에 목조주택, 흙 또는 흙별돌롤 구축한 토조주택, 석조주택으로 크게 구분된다.
목조주택은 중국 전통주택의 분포지역이 가장 넓으면서 사용하고 있는 사람의 수가 가장 많은 주택 유형이다. 화북지방의 사합원이 목조 주택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으면, 길림성을 중심으로 하는 동북지방의 주택 또한 목조 주택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다. 사합원의 전통을 이어받은 강소, 절강, 안휘 등 양자강 남부 여러 성의 민가 또한 목조주택의 한 형식이며, 객가족의 토루는 토조와 목조를 겸용했으나 근본적으로 목조주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화남지방에 자리하는 삼합원 형식의 주택인 일과인 또한 목조 주택의 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서남의 귀주, 광서, 운남의 여러 성을 특징짓는 주거형식인 고상식 또는 간락식 주택은 사합원과는 달리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바닥을 만들고 그 위에 주거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덥고 습하며 비가 많은 남부지방을 대표하는 목조 주택이다. 또한 시강, 운남 등에서 발견되는 정간식 주택도 목조 주택의 한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국선, ,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이원식,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강희,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손세관, , 環境科學硏究(환경과학연구) Vol.5, 1994

손세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p.1-24

손세관, , 열화당

손세관, , 열화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