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

 1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1
 2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2
 3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3
 4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4
 5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5
 6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6
 7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7
 8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8
 9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과교육론 -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David Hume의 도덕철학 : Moral Sentiment
I. 흄의 도덕철학
1. 인식론적 기초 : 인간학
17~18세기 유럽의 계몽주의 시대는 자연과학의 발달과 함께 인간의 합리적 이성을 새 시대의 핵(核)으로 꼽았다. 인간의 이성적 사유 작용을 절대적으로 중시했던 데카르트(Descartes)는 인간의 정신과 신체를 구분하여, 정신이 신체를 지배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신체에 따르는 정념이나 욕구 등은 상대성과 주관성이 강하다는 이유로 절대적이고 합리적인 이성의 지배를 받아야 하는 하위의 개념으로 무시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경험주의 철학자 흄은 이성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반기를 들었다. 뉴턴 과학의 영향을 받아 자연과학적 방법을 인간에 대한 연구에 적용한 흄은, 지각을 인상과 관념으로 구분하여 실험과 관찰의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인간 본성에 대해 탐구하는 ‘인간학’을 정립했다.
인상이란 우리가 무엇을 지각할 때 우리의 영혼에 최초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감각(sensations), 정념(passions), 그리고 정서(emotions)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관념(ideas)은 사유와 추론에 있어서의 인상의 희미한 심상을 가리킨다.어떤 대상을 지각한 감정이나 느낌을 인상이라고 한다면, 그러한 인상을 기억하여 회상해낸 것이 관념이다. 흄은 인상과 관념을 ‘지각 작용(feeling)과 사고 작용(thingking)의 차이’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념들의 분리와 결합의 연합 원리를 상상력이라는 인상은 관념에 앞서며, 관념은 인상으로부터 유래한다는 흄의 원리는 결국 경험의 한계를 벗어난 데카르트의 관념이나 형이상학적 실체의 관념 등을 비판하는 근거가 된다.
2. 인간 행위의 동기 : 정념(passion)
“오직 이성은 이것만으로는 결코 의지에 따르는 그 어떤 행위의 동기가 될 수 없으며, 이성은 의지의 방향을 결정할 때 결코 ‘정념’에 맞서지 못한다.”
“이성은 정념의 노예이며, 노예이어야 한다.”
“도덕성은 판단된다기보다 느껴진다고 말하는 것이 더욱 정확할 것이다.”
“도덕적 감정은 의욕을 자극하고 행위를 유발하는 것이다. 이성만으로는 어떤 행위도 유발할 수 없다. 물론 상황판단과 수단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이성이 작용한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정념이 주도적 역할을 한다.”
흄에 의하면 도덕적 옳고 그름의 판단은 우리의 이성이 아닌 그 도덕적 상황을 어떻게 느꼈는지에 대한 우리의 감정(기질)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대상으로부터의 쾌락(친근함), 고통(혐오)를 예상하고 행동을 결정한다. 즉, 감정이 행위의 동기가 되는 것이다. 이성은 오로지 참과 거짓의 발견에만 관계하기 때문에 정념에 봉사하고, 복종하는 역할만을 맡을 수 있다.
우리에게 동기를 주는 정념에는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것이 있고 평온하거나 격렬한 것이 있다. 기쁨, 슬픔, 희망이나 공포와 같은 직접적인 정념은 자연적인 본능에서 일어나거나 또는 선에 대한 욕구로부터 일어나는 것이라면 기쁨과 동일시될 수 있을 것이며, 악으로부터 일어난 것이라면 고통과 동일시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