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

 1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
 2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2
 3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3
 4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4
 5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5
 6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6
 7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7
 8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8
 9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9
 10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0
 11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1
 12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2
 13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3
 14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4
 15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5
 16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6
 17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7
 18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8
 19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19
 20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평생교육론] ‘학습 셀’ 중심의 평생학습 지역사회의 모형 탐구- ‘홈스쿨링’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1. 연구 주제
2. 연구 방법

II. 홈스쿨링에 대한 연구 조사
1. 홈스쿨링 도입 배경
1) 지식정보화 사회
2) 핵가족 사회
3) 대안으로서의 홈스쿨링
2. 홈스쿨링 개념과 역사
1) 홈스쿨링 개념
2) 홈스쿨링 역사
3. 홈스쿨링 각국 현황
1) 미국 2)유럽 3)일본 4)한국
4. 가정중심 평생학습사회 모형에의 적용 가능성

III.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 조사
1. 학습동아리의 개념 및 의의
1) 학습동아리의 개념
2) 학습동아리의 의의
2. 학습동아리의 현황과 개선 과제
1) 학습동아리의 현황
2) 학습동아리의 개선 과제
3. 가정중심 평생학습사회 모형에의 적용 가능성

IV. 가정중심 평생학습 지역사회 모형 탐구
1. ‘학습 셀(Learning Cell)’로서의 가정
2. ‘학습 셀’간의 연계-‘학습 티슈(Learning Tissue)’
3. 학습 티슈와 국가·시민·시장 차원과의 연계

V. 정리 및 한계점 고찰


참고 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놀라운 속도로 정보·지식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오늘날, 이와 같은 시대적 요청과 함께 우리는 끊임없이 학습해야 하는 인간 존재의 본성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평생학습사회’로 나아가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둘 때 우리는 과연 ‘평생학습사회’란 어떠한 사회이며 어떠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실현 가능한 모형에 대한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한숭희(2001)는 평생학습사회를 “학습의 총량이 증대됨을 통해 해당 사회가 정체되지 않고 스스로 자기주도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모든 시민의 학습을 최적화,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사회구조 자체를 다시 가다듬는 것을 의미한다”고 규정하였다 (p.82). 이와 같은 개념 규정의 시도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이, 평생학습사회는 인간의 학습과 교육이 사회 활동 및 인간 삶의 총체 속에서 핵심적인 위치에 그 자리를 잡아 점차적으로 그 영향력을 확장해 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사회 체계를 구성해 낼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사회적 체계들은 우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인간 활동들의 특성들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띠면서 창의적인 형태로 구상될 수 있을 것이며, 바로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구체적 체계들이 다같이 접목되어 나타날 때 비로소 하나의 선명한 모습의 평생학습사회를 살펴 볼 수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권근숙(2002). 우리나라 홈스쿨링의 현황과 실천사례 연구. 경상대 대학원 석사 논문.
김 걸(2005). 평생학습사회에서의 학교교육. 학교 경영. 한국 교육 생산성 연구소: 교육연구사. pp. 25-31
김선요(2005). 홈스쿨운동의 전개와 시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논총 제12집. pp. 101-121.
김재웅. 홈스쿨링의 의미와 한국에의 적용.
민들레 편집실(2000). 새로운 길을 여는 부모들의 이야기: 홈스쿨링, 오래된 미래. 서울: 민들레.
이연섭·김호권(2001). 흔들리는 가정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이지혜(2001). 성인 여성 학습 동아리 활동 시범 지원 방향에 관한 연구. 여성 교육 정책 연구 과제.
이혜영 역(1997). 홈스쿨링. 서울: 배우미출판사.
이혜영(2000), 한국의 홈스쿨링 운동의 현황과 전망, 평생교육학연구 6권, pp109~134
한숭희(2004). 평생교육론. 서울: 학지사.
한숭희(2001). 평생학습과 학습 생태계: 평생교육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홍숙희(2001). 학습동아리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