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

 1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
 2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2
 3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3
 4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4
 5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5
 6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6
 7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7
 8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8
 9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9
 10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0
 11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1
 12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2
 13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3
 14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4
 15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5
 16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6
 17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7
 18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8
 19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19
 20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교육사상]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유교와 도교를 바라본 베버의 틀
Ⅲ. 도교의 발전
1. 도교의 정의
1) 도교에 대한 다양한 견해
2) 도교의 특징
3) 도교의 정의
4) 베버가 본 도교의 특징
2. 도교의 발전
1)은자
2)중국인들의 토속적인 경향과 합치
3)도교와 주술사의 융합
4)도교의 교권제
5)상인사회와 도교의 결탁
6)주술의 합리적 체계화
7)유교와 도교의 정치적 대립
8)도교의 종파와 이단박해의 역사
9)발전의 결과
Ⅳ. 유교와 도교의 차이점
1. 정통과 이단- 유교와 도교구분의 애매성
2. 정통과 이단- 유교와 도교의 차이점
1)교의와 의례
2)사상적 지향
3)정통과 이단의 구분에 대한 의미
Ⅴ. ‘타자로서 본 도교’의 한계와 ‘자기로서 봐야할 도교’의 측면
1. 도교를 타자의 입장에서 봄으로써 나타난 한계
1)베버적인 틀의 한계
2)베버적인 틀로 도교를 바라봄으로써 나타난 한계
2. 자기로서 봐야 할 도교의 측면
Ⅵ. 결론

덧붙여서- 타자로서 본 중국의 또 다른 관점
본문내용
중국 사상 체계의 근간이 되는 유교는 중국 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사회문화적으로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성장해왔다. 그리고 노장사상에 뿌리를 두는 도교 사상 역시 각 국가의 샤머니즘적, 애니미즘적 전통 신앙과 혼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현재까지도 그 속성이 동양 사회 전반에 걸쳐 생명력을 가지고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중국의 문화적 영향을 오래도록 받았던 한국의 지역적 특성상, 우리는 자연스럽게 유교적 사상 체계와 도교적 사고방식이 복잡하게 혼합된 문화적 틀에 익숙해져 있음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는 지금으로부터 85년여 전에 중국 사회와 그 사회경제적 발전 유형을 서양의 학자, 막스 베버가 체계적으로 기술한 논문의 본보기이다. 베버는 중국의 사상 체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유교와 도교를 서양인의 눈, 즉 의 객관적인 시선으로 파악하여 비교 분석하고 그 사회경제학적 가치를 가늠하려고 하였다. 그가 처음 중국의 사상 체계에 대해 정치, 경제적으로 접근하려고 했던 이유는 「서양과 비교하면 외면적으로는 자본주의의 성립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좋은 사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는 왜 자본주의가 발전하지 못 하였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참고문헌
강상중(1998).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도서출판 이산.
막스베버(이상률역).(1990).「유교와 도교: 중국종교의 정통과 이단」
브라이언터너.(2004).「막스베버,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역사사회학」서울: 백산서당.
송기정 외.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이화여대주제 통합형 교양과목 교재.
안종철(2004). ‘동양, 서양’이데올로기 비판과 새로운 역사인식. 라보리선교회.
양영진(1987). 막스베버에 있어서 종교와 여타사회제도간의 관계. 한국사회학회.
유석춘(1992). 「막스베버와 동양사회」. 서울: 나남.
이승환(1998). 서양의 유교 이해에 대한 담론학적 분석.
전성우(2001). 「막스 베버 종교사회학의 이론적 틀」. 한양대학교 민족학 연구소.
전성우(2001). 「막스베버의 유교론 -비판적 재구성-」 한양대학교 민족학 연구소.
조셉니덤(이면우역).(2000). 「중국의 과학과 문명」. 서울: 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