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

 1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
 2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2
 3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3
 4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4
 5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5
 6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6
 7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7
 8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8
 9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9
 10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0
 11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1
 12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2
 13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3
 14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4
 15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5
 16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6
 17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7
 18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8
 19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19
 20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말우리글 -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미인곡, 용부가,
시조, 판소리
≪ 차 례 ≫
Ⅰ. 사미인곡
1-1.작가의 생애
1-2.작품 분석
1-3.작품 분석
Ⅱ. 용부가
2-1.작품 해석
2-2.당대 문학사의 특징
2-3.작품분석
2-4.시어,시구 풀이
2-5. 작품에 대한 의견,비평
Ⅲ. 시 조
3-1. 우 탁
3-2. 이 조 년
3-3. 김 종 서
3-4. 성 종
3-5. 정 철
3-6. 임 제
3-7. 이 항 복
3-8.박 태 보
3-9.이 정 보
3-10.황 진 이
3-11.오 경 화
3-12.무명씨
3-13.장진주사
3-14.당대 시조의 특징
Ⅳ. 흥보가
4-1.작품 분석
4-2.작품 해석
4-3.작가의 생애
Ⅰ.사미인곡
1-1. 작가의 생애 : 정 철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시인. 호는 송강. 당대의 뛰어난 학자이 기대승, 김윤제 등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1562년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지평·전적·직제학을 거쳐 승지에 올랐으나, 모함을 받고 벼슬에서 쫓겨나 전남 담양으로 돌아갔다. 1580년에 다시 등용되어 강원도·전라도·함경도의 관찰사를 지내면서 등을 지었다. 1584년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등의 가사를 지어 가사 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다시 벼슬길에 나가 이듬해에 사신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동인들의 모함으로 사직하고, 강화 송정 촌 에서 만년을 보냈다. 바른말을 잘 하는 성격으로 당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거의 평생을 귀양살이로 보냈지만, 학문이 깊고 글을 잘 지었다. 그가 지은 과 여러 시들은 국문학사상 영원히 빛날 주옥같은 작품들이다. 그는 가사 문학의 대가로서, 시조의 윤선도와 더불어 우리나라 시가 문학의 쌍벽을 이룬다. 작품으로는 4편의 가사와 시조 107수가 있으며, 저서로 시문집 과 시가 작품집 가 있다.
1-2.작품 해설 : 사미인곡
이 작품은 송강이 50세 되던 때에 물러나 4년간 전남 창평 으로 내려가 지내며 불우한 생활을 하고 있을 때에 자신의 처지를 노래한 작품으로, 뛰어난 우리말 구사와 세련된 표현으로 속편인 속미인곡과 함께 가사 문학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임금을 연모하는 연군지사(戀君之詞)인 이 노래는 서정적 자아의 목소리를 여성으로 택하여 더욱 절절한 마음을 수놓고 있다. 임금을 임으로 설정하고 있는 사미인곡은 멀리 고려 속요인 정과정과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우리 시가의 전통인 부재(不在)하는 임에 대한 자기 희생적 사랑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는 가시리, 동동 등에 이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사미인곡의 문학적 영향 문제는 일반적으로 굴원(屈原)의 이소(離騷)에서 그 의례적 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사미인이라는 제명도 이소의 제 9장에 있는 思美人이라는 편명과 같으며, 이소의 충군적 내용과도 유사하다. 그러나 이 작품은 언어, 형식, 표현 기법, 구조 등 모든 면에서 송강다운 문학적 개성이나 독창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정홍명(鄭弘溟)이 이식(李植)에게 보낸 편지에 《사미인곡》에 대하여 언급한 구절이 있는데, 그 내용에 따르면 87년(선조 20)에서 88년 사이에 쓰여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작자는 이 가사에서 임금에 대한 간절한 충정을, 한 여인이 지아비를 사모하는 마음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뜻을 우의적(寓意的)으로 표현하였다. 제목은 《시경(詩經)》이나 《초사(楚辭)》에서 따온 것이지만 내용은 순수한 우리말을 구사한 창작이다.
이 가사의 속편인 《속미인곡(續美人曲)》이 있는데, 그것 역시 동곡이교(同曲異巧)의 작품으로, 송강 스스로도 두 작품을 통틀어 전후미인곡(前後美人曲)이라 일컬었다. 가사문학의 정상(頂上)으로 꼽히는 작자의 가사집 《송강가사》에 수록되어 전한다.
가사 첫머리는 다음과 같다.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한생 연분(緣分)이며 하날 모랄 일이런가. 나 하나 졈어 잇고 님 하나 날 괴시니, 이 마음 이 사랑 견졸 대 노여업다…".
1-3.작품 분석
▶ 갈래 : 서정가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