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

 1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
 2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2
 3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3
 4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4
 5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5
 6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6
 7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7
 8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8
 9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9
 10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0
 11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1
 12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2
 13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3
 14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4
 15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5
 16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6
 17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7
 18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8
 19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19
 20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관동별곡 - 어구 해석 및 현대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관동별곡 >
안축은 고려 말기 지방 향리 출신으로서 중앙 정계에 진출한 전형적인 신흥사대부이다. 그는 한시 뿐 아니라 고려시대 3편의 경기체가 중 2편을 창작한 사람으로 한국 문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근재집』에는 한시가 146수, 기(記)가 7편, 표(表)가 1편, 책(策)이 1편, 묘지명(墓誌銘)이 1편, 그리고 경기체가인 과 이 있다. 특히 경기체가인 이 두 작품은 결코 가볍게 처리될 수 없을 만큼의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특히 에 가리워져 경기체가 전체 맥락에서 그리 큰 의미를 부여받지 못했다. 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기(記)나 한시 등과 상호 관련을 고려하여 살펴야 한다. 은 경기체가 중 최초로 자연을 대상으로 노래된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기에 근재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의 어구 해석을 통한 내용 분석, 형식 및 구조, 제작 연대와 창작 배경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어구 해석 박경주, 「경기체가 연구」, ( 이회문화사, 1994) p.97
및 현대역 최용수, “안축의 에 대하여”, 「배달말」23, (배달말학회. 1998) p.43
제 1장
海千重 山萬疊 關東別境
碧油幢 紅蓮幕 兵馬營主
玉帶傾盖 黑紅旗 鳴沙路
爲 巡察景 幾何如
朔方民物 慕義起風
爲 王化中興景 幾何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