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

 1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1
 2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2
 3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3
 4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4
 5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5
 6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중예술의 사회적 소통과 공공성
Ⅰ. ‘문화상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
Ⅱ. 대중성과 공공성
Ⅲ. ‘정치예술’에서 ‘예술정치’로, ‘공공성’에 대한 새로운 정초
Ⅳ. 미적 향유의 사회적 공유와 소통으로서의 ‘상품’
* 주제어: 예술, 문화, 소통, 대중성, 공공성, 문화상품, 공론장
Ⅰ. ‘문화상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
문화 및 예술은 개인 차원에서의 생성이 불가능하며, 사회와의 소통 과정에서 혹은 결과로 발생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개인이 사회 구성원들과 미적 감수성을 공유하고자 하는 공통감(sensus communis, common sense)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박상환,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83쪽.
공통감에 대한 칸트(Immanuel Kant)의 주장에 의하면, 우리는 어떠한 대상의 미적 감수성에 대해 판단할 때, 개인의 주관적 원리에만 따르지 않고 다른 사람들의 동의를 구하면서, 보편적으로 만족을 주는지 아닌지 그 대상을 규정한다. 최소인, 미감적 이념과 공통감-미감적 판단의 주관적 보편성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제68집, 2012, 448쪽.
보편적인 감정에 기초하여 개인의 미적 감수성에 대한 판단을 내린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른 이의 표상 방식을 고려한 판단에 의한 것이므로, 공통감 그리고 문화는 타자의 입장에서 사유하기, 즉 소통성이 내재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인류학자 라파이유(Clotaire Rapaille)가 제시한 문화코드(culture code)는 문화가 학습에 의해 형성 및 공유된다는 면에서 위의 논의와 궤를 함께한다. 그러나 “문화권에 내재한 구성원들의 근원적 공유 요소”, “문화적 DNA”를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확인시킨다는 면에서, 소통성보다는 무의식성에 기대며, 또한 배타의 원리도 일견 발견할 수 있다(박치완 외, 『문화콘텐츠 입문사전』, 꿈꿀권리, 2013, 308-310쪽.).
우리말 ‘소통’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인 ‘communication’의 어원은 라틴어 ‘communicare(to make common)’ 로, 명사형이 ‘communis’이다. ‘공동체’를 가리키는 ‘community’ 또한 동일한 어원을 갖는데, 이 communis는 ‘cum(with)’과 ‘munis(bound 혹은 one)’가 결합된 단어로, ‘공유하다공통의 가치관공동체’등의 의미를 갖는다. 박흥국전기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경문사, 2004, 423쪽.; 노구치 요시아키 저, 김욱송 역, 『커뮤니케이션 노하우 두하우』, 다산북스, 2010, 6쪽.
여기에서 소통은 가치관생활규범 등을 공유하여, 나와 타인에게 결속력을 갖게 하는 작용임을 알 수 있다. 즉 소통이란 문화를 공유하는 것, 혹은 그 과정에서 발생하며, 이를 통해 공동체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소통문화사회는 서로에게 전제된 개념으로 간주된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문화 및 예술은 상품화된다. 이 ‘상품’을 단지 천박한 자본주의의 재화로서 소극적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소통성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박상환, 앞의 책, 84쪽.
상품은 교환되는 화폐를 지불할 수 있는 대상이라면 누구든 가리지 않고 판매되며, 전 국토에 흐르는 바다강시내처럼 세상 구석구석에 유통된다. 즉 평등성과 운동성이 내재되어 있다. 문화콘텐츠는 본디 엘리트적권력적 속성을 지닌 문화가 대중에게 널리 향유될 수 있도록, 상품성을 강화한 문화의 한 형태이다. 달리 말하면, 문화적 권력을 해체하여 대중이 공유 혹은 소통하는 방식이 바로 문화의 상품화인 것이다. ‘대중의’라는 뜻의 영어 단어 popular는 ‘public과 마찬가지로 라틴어 어원이 publicus인데, 이는 ‘공식적인공유의공개의평범한’ 등의 의미를 갖는다. 박상환, 위의 책, 88쪽.
어원에서도 볼 수 있듯이, 문화콘텐츠에 내재된 대중성은 공공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공공성에 대한 논의는 다음 절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Ⅱ. 대중성과 공공성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