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

 1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1
 2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2
 3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3
 4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4
 5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5
 6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6
 7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7
 8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8
 9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9
 10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10
 11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종길론 - 생애와 활동,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문학적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金宗吉論 --
金 宗 吉 論
- 목 차 -
1. 김종길의 생애와 활동
2. 작품 경향과 변모과정
1) 습작기(1946~48) 시 : 화해와 교감의 세계
2) 1950년대의 시 : 불화와 상심의 세계
3) 1960년대 이후의 시 : 날카로운 감각과 격조 높은 시선
3. 문학적 특징
1) 이미지의 다양한 구사
2) 엄격한 형태의 추구
3) 다양한 종결 어미와 남성적 어조
4. 시론
참고문헌
1. 김종길의 생애와 활동
김종길은 1926년 5월 경북 안동에서 아버지 김문대 씨와 어머니 이영희 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8년 어머니를 여의고 증조부, 증조모, 조모 세 노인이 그를 지극정성으로 돌보았다. 어렸을 적부터 자연스럽게 증조부 옆에서 거처하며 한학을 접하게 됐다 “요즘 아이들이 취미삼아 게임에 빠져들듯이 난 한시에 흥미를 느꼈다”는 김 시인은 초등학교 시절 동네 어르신들이 “넌 커서 뭐가 되고 싶냐”는 질문에 주저없이 “소설가가 되고 싶다”고 답했을 정도로 문인의 꿈은 한결같았다. -2009년 7월 7일 문화저널21, 김종길의 인터뷰 중에서,
.
1934년 4월에 진보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한 김종길은 남달리 글짓기, 특히 운문 짓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방학 때는 외가에 가서 시인이었던 외삼촌 이병갑 우리 외가가 이문열과 같은 가문으로 둘째 외삼촌께서 이병갑 선생님이라고, 30년대《시학》동인을 하신 분이셨습니다. 서른둘에 돌아가셨습니다. 또한 외사촌 형이 혜화전문을 다녔습니다. 외가에 가면 당시의《문장》지를 읽을 수 있었고 서정주의『화사집』, 유치환의『청마시초』, 정지용의 시집 등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주변 환경이 그래서인지 우리 현대시를 접할 수 있었습니다. -2007년 8월 12일 문학, 김종길의 인터뷰 중에서,
의 서재에서 우리말로 된『문장』,『시학』등의 문학잡지와『청마시초』,『화사집』, 정지용의 시집 등의 시집을 접하고 정독하여 우리말의 감각을 익히고 우리시의 우수성을 알게 되었다. 1940년 대구사범대학교 심상과에 입학한다. 대구사범대를 다니면서도 문학에의 정진은 계속되어 동급생이었던 이근우(李根雨), 이상한(李相漢)등과 동인지『은하대(銀河帶)』를 만들었다. 1945년 졸업 후 그해 9월까지 안동서부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다 11월에 혜화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한다. 혜화전문에 재학 시인 46년『주간소학생』지의 현상모집에 응모한 동시「바다로 간 나비」가 입선하게 되면서, 박두진, 조지훈 등을 알게 된다. 4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문(門)」이 당선함으로써 일찍이 등단하여 당시 경향신문 주필이면서 시부문의 선자(選者)였던 정지용으로부터 상을 받았다. 김종길은 영문학에 흥미를 느껴 47년 8월 영시시론에 밝다는 선생을 찾아 고려대 2학년으로 편입한다. 거기서 만난 분이 이인수(李仁秀)교수였다. 48년 2월에 지금의 부인 강신향(姜信香)과 결혼하고, 11월에는 훗날 영국 유학길에 인생의 중요한 만남을 가질 엘리어트의『황무지』를 이인수 교수의 지시로 번역한다. 50년 5월 영문과를 졸업하자마자 동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59년 8월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영문과 조교수로 취임하고 이듬해 3월 부교수로 승진한다. 60년 1년간 영국유학 길에 올라, 지도교수였던 W.엠프슨 교수 외에도 S.스펜더와 T.S.엘리어트 등 영국의 저명한 시인, 비평가들과 만났다. 영국에서 돌아온 그는 65년에『시론』을 간행하고, 68년에『폭풍의 언덕』을 번역, 이듬해 69년에 첫 시집『성탄제』를 발간하였다. 74년 제2시론집『진실과 언어』를 발간하고, 77년에는 시집『하회에서』를 발간, 다음 해목월문학상을 수상한다. 86년 회갑을 맞아 수상집 『산문』을, 시집『황사현상』과 시론집『시에 대하여』를, 즉 5개월 사이에 3권을 발간하는 저력을 발휘하기도 하였다. 최동호 편저(1996), 한국명시 하, 한길사, p. 1079
91년 시선집『천지현황』을, 97년에는『달맞이꽃』을 발간, 98년에는 시론집『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간행한다. 2004년에 시집 『해가 많이 짧아졌다』, 2005년에 다섯 번째 시론집『시와 삶 사이에서』를 간행 제1시론집『시론』(1965)이 모태가 되어 출발한 김종길의 비평은 제2시론집『진실과 언어』(1974)에 이르러 정립되었다. 제3시론집『시에 대하여』(1986)는 김종길이 회갑을 맞아 당시까지의 비평 작업을 정리한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서, 앞의 시론집에 수록된 비평이 상당 부분 재수록되었으며, 새로운 비평의 양상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제3시론집과 그 이후의 비평을 수록한 제4시론집『시와 시인들』(1997)에서 특징이 되는 새로운 양상을 찾는다면, 시 교육의 차원에서 시 읽기와 시 해석의 방법을 정리하려는 시도, 한시에 대한 이해, 한국시의 번역 및 소개의 차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제5시론집『시와 삶 사이에서』(2005)는 팔십 평생에 걸친 김종길 시인의 사상과 고뇌가 집약적이고 함축적으로 녹아있다.
했다. 2008년 3월에는 시집『해거름 이삭줍기』를 간행, 2009년 만해대상을 수상하여 시인이자 영문학자로 동양 고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동서양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은 깊은 문학사적 통찰력으로 현대시의 나아갈 길을 밝혔다는 평가를 받으며 85세의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2. 작품의 경향과 변모과정
김종길의 시재(詩材)는 일상생활의 주변에서 얻어지며, 열띤 감정이나 감상, 또는 혼돈에 빠지지 않는 시풍(詩風)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언어가 매우 지적이며 간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제와 극기의 태도는 그의 시적 감수성 속에 한시(漢詩)적이고 유가(儒家)적인 전통이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런 유가적 품격과 이미지스트로서의 시어가 조화를 이루어 균형과 절제 속에서 시상이 펼쳐진다. 또한 고전적인 감각과 현대 영미시에 대한 식견을 바탕으로 시 비평에도 기여하였다. 그의 작품들은 모두 완성도가 높으며, 우리 현대시사에서 독특한 지위를 차지한다. 그것은 이미지즘에 정신성을 부여했다는 점일 것이다. 우리 현대시에서 이미지즘이라면 통상 형식과 기교에의 치중과 경박한 모더니즘을 환기시킨다. 그러나 김종길의 시는 이미지즘을 솜씨있게 구사했을 뿐 아니라 높은 정신성의 추구로 나아갔다. 높은 정신성의 이미지즘은 서구적이고 현대적인 것이면서 동시에 동양의 한시, 특히 선시 같은데서 번번이 만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이기도 하다. 명징성(明澄性)과 염결성(廉潔性)을 지닌 김종길의 시는 이 점을 무리 없이 조화시키고 있다. 우찬제(2005), 시인박물관(음화로 풀어쓰는 시), p. 25
1) 습작기의 시 : 화해와 교감의 세계
1946년부터 1948년까지 이십대 초반의 김종길이 발표한 시는 모두 8편이다. 이 무렵 그의 시는 모색의 양상을 드러내는데, 다양한 주제와 형태 실험 과정에서 추출할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은 정확한 조사, 감각의 균형, 윤리적인 태도, 섬세한 색채감각 등이다. 이 때에 시인의 주된 관심은 바깥 세계의 사물들을 가능한 한 흔들림 없는 주체의 눈으로 관찰하고 그들과 나누는 교감을 세밀히 추적하는 데 있었다. 그래서 바깥 세계의 사물은 시의 주체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한 채 주체의 사려 깊은 눈길로 양자 간의 호감은 탐구되었으며, 주체의 속마음에 스치는 긍정적 반향은 시에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 이와 같은 세계가 대체로 화해롭고 밝은 정조를 견지하게 되었음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