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1
 2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2
 3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3
 4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4
 5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5
 6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6
 7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7
 8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8
 9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9
 10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10
 11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상]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생 애
사 상

1. 철학사상
2. 정치와 경제 (政治 經濟)
4. 과학
5. 선비관
6. 경학과 천주교
7. 다산의 저술서
본문내용
생 애

다산은 1762년(영조 38년) 6월 16일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당시 광주군 초부면 마현리)에서 4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진주목사를 지낸 정재원((丁載遠 : 1730~1792)이며, 어머니는 해남 윤씨로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 : 1587~1671)의 후손이며 조선시대 유명한 서화가인 공제 윤두서의 손녀이다. 다산의 자는 미용(美庸), 용보(頌甫), 귀농(歸農)이고, 호는 삼미자(三眉子), 사암(俟庵), 열수(洌水), 다산 (茶山), 자하도인(紫霞道人), 태수, 문암일인(門巖逸人) 등이며, 고향집의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고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다산의 고향 마재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수하고 다시 경안천이 흘러들어오는 지점으로 풍광이 아름다운 수향(水鄕)이다. 다산은 한강의 명칭을 ‘ 열수’(迾水)로 고증하고 산간지역을 흘러나온 북한강이 ‘산수’(汕水)요, 낮고 습한 평지를 흘러나온 남한강이 ‘습수’(濕水)로 밝혀, 고향 주위의 강이름을 고증하였다. 마재에 처음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다산의 5대조인 정시윤 때 부터이다. 정시윤은 숙종 경신년(1680)이후 그의 가문이 속한 남인(南人)이 정치적 세력을 잃게 되는 시기를 만나자 만년에 벼슬을 버리고 초야로 물러날 마음을 굳히고, 서울을 떠나서 동쪽으로 한강을 거슬러 올라와 소내 북쪽 강가의 마재 땅에 터를 잡았다. 그리고 이곳에 초가 몇 칸을 세워 임청정(臨淸亭)이라 이름 지었으며, 임청정의 동쪽과 서쪽에 세 아들이 살게 하고, 북쪽에 서자가 살게 하였는데, 뒷날 다산의 집인 여유당(與猶堂)은 바로 이 북쪽의 집이었다. 다산은 자신의 친가․외가․처가의 집안 인물들에 대해 깊은 관심으로 자세한 기록을 남겨놓고 있다. 4세 때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여 주위에 신동으로 알려졌으며, 7세때 지은 '산'이라는 시가 이를 입증해 준다. "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렸으니 멀고 가까움이 다르기 때문이네 (소산폐대산 원근지부동 : 小山蔽大山 遠近地不同) " 부친이 이를 기특하게 여겨 "분수에 밝으니 장차 크면 틀림없이 역법과 산수에 능통하게 될 것이다."고 하였다. 15세에 풍산 홍씨와 결혼을 하였고, 16세에 실학의 선구자 성호 이익(星湖 李瀷 : 1681~1763)의 저서를 접하고 실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1. 강만길 ․ 정창렬 외 9명, 「茶山의 政治經濟」((주)창작과 비평사, 1990)
2. 황의동, 「한국의 유학사상」(서광사, 1995)
3. 김언호, 「丁若鏞」(한길사, 1992)
4. 이을호, 「다산 경학 사상 연구」(을유문화사,198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