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

 1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
 2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2
 3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3
 4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4
 5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5
 6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6
 7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7
 8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8
 9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9
 10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0
 11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1
 12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2
 13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3
 14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4
 15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5
 16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6
 17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7
 18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8
 19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19
 20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생활사] 지명의 변천 양상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명의 변화
1. 고유어에서 한자어로의 지명 변화
1.1. 고유어의 의미 유지
1.2. 고유어의 의미 왜곡
1.2.1. 동음 견인에 의한 의미 변화
1.2.2. 구전 과정상 발음 오해로 인한 의미 변화
1.2.3. 본뜻 오해로 인한 의미 변화

2. 음운적 변동을 거친 지명 변화
2.1. 음운탈락
2.2. 음운소실
2.3. 동화
2.4. 구개음화
2.5. 움라우트

3. 문자 교체를 거친 지명 변화
3.1. 의미의 유사성으로 말미암은 문자 교체
3.2. 한자음이 같아 이루어진 문자 교체
3.3. 피휘(避諱) 또는 미화의 동기로 된 문자 교체

4. 행정 구역 병합에 따른 혼태식 지명 변화

5. 일제의 임의적인 개명

[2] 지명의 연원 추정
1. 전설과 관계 깊은 지명
2. 역사와 관계 깊은 지명
3. 인물의 생애가 반영된 지명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명은 한 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그 지역 사람들의 의식과 생활상을 반영한다. 우리는 지명의 유래와 변천을 통해 한 지역의 어제와 오늘을 이해하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는 한편, 그 지역에 살았던 이들과 현재 살아가고 있는 이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국어학적 관점에서 지명을 볼 때 중요한 것은 지명의 이러한 복합적 성격이 무엇보다도 언어를 통해 드러난다는 점이다. 즉 지명은 자연스러운 언어의 변화와 함께 변화할 뿐 아니라, 사고를 반영하는 언어 일반의 특성으로 인해 그 지명과 관련된 이들의 의식 변화에 따라 언어적 변화의 과정을 밟는다. 따라서 이러한 지명들을 살펴보는 것은 곧 우리 국어의 역사를 살펴보는 일인 동시에 우리 선조들의 삶과 정신을 들여다보는 일이 된다. 나아가 지명 연구를 통해 우리는 땅이름에 간직된 우리 선인들의 얼과 정신에 한걸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명 연구의 이러한 국어생활사적 가치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지명의 변화와 연원을 고찰해보기로 한다. 지명의 변화를 살핀 부분에서는 현전하는 지명이 어떤 경로를 밟아 오늘의 지명에 이르렀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부분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지명 변화에는 언어 자체의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가 있는 한편, 언어 사용자들의 무지와 오해, 그리고 언어외적 목적에서 기인한 부자연스러운 변화와 왜곡이 있다는 것을 새삼 확인하였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한자와 관련된 것이 많았는데 이를 통해 우리말에 깊이 침투해 있는 한자의 영향력을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되었다. 아래 제시된 예들은 한자와 우리 고유어의 관계 및 조화에 대해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참고문헌
김기빈(1995), 일제에 빼앗긴 땅 이름을 찾아서, 살림터
김기빈(2002) 편저,「지명을 알면 역사가 보인다」,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편저, 양지
도수희(1994), 지명 연구의 새로운 인식, 『새국어생활 제4권 제1호』
도수희(1999), 한국지명연구, 이회문화사
도수희(2003), 한국의 지명, 아카넷
이기문(1998), 국어사 개설, 태학사
이돈주(1994), 지명의 전래와 그 유형성, 『새국어생활 제4권 제1호』
이명규(2000), 서울 ․ 경기 지역 지명 및 방언, 한국문화사
조항범(1997), 다시 쓴 우리말 어원 이야기, 한국문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