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

 1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1
 2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2
 3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3
 4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4
 5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5
 6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6
 7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7
 8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8
 9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9
 10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10
 11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학과]일연의 삼국유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II. 일연의 생애와 역사관

Ⅲ.삼국유사의 체제와 해석

IV.삼국유사의 간행, 유통 및 소장

V. 결론
본문내용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중 하나를 택하라면 마땅히 삼국유사를 택하겠다.」고 한 육당 최남선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에 싣지 않는 우리의 옛 모습과 뒤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한 한국 고대사의 가장 귀중한 사서이다. 또 육당은 「삼국유사는 어느 의미로 말하면 조선 상대를 혼자 담당하는 문헌이라고 할 만하니 조선의 생활과 문화의 원두( 頭)와 고형(古形)을 보여주는 것은 오직 이 책만이 있을 따름이니라....... 삼국유사는 조선 고대사의 최고원천이며, 일대 백과전림(一大百科典林)으로 일연의 공은 서방의 ‘헤로도투스’에도 비(比)할 것이니라. 누가 삼국유사를 출발점으로 하지 않고서 조선의 신학을 말하며, 조선의 신화학, 특히 국민 및 고사 신화학(古史神話學)을 말하며, 조선의 사회력(社會力) 및 그 발달사를 말하며, 고어학(古語學)ㆍ지명학ㆍ씨족학(氏族學)ㆍ문화사ㆍ사상사ㆍ종교사를 말할 수 있으랴.......」고 했듯이 삼국유사는 우리 선조들의 문화ㆍ사상ㆍ생활의 단면들을 보여주는 신화와 전설들이 풍부하게 실려있는 유일한 사서로 고고학ㆍ신화학ㆍ국문학ㆍ민속학ㆍ불교학 등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귀중한 문헌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는 합리적인 유교의 정치도덕 관점에서 저술된 삼국사기와는 달리 비합리적이고 초인간적인 힘의 작용이 국가의 흥망을 좌우한다는 관점에서 편찬되었다. 따라서 그 내용을 언뜻 보면 맹랑한 속설 또는 아동에게도 설득하지 못할 황당무계(荒唐無稽)한 내용의 설화로 보일 수도 있다. 또 삼국유사라는 이름이 의미하듯이 삼국사기에서 빠진 일들을 적당히 편집한 것과 같은 인상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일연선사가 꼭 말하고 싶은 곤륜산의 옥돌을 설화라는 띠끌속에 감추어 놓았음을 간파 할 수 있다. 즉 삼국유사의 설화는 허무맹랑한 귀신과 허깨비의 이야기와 같은 비속함이 아니라 그 근본이 거룩하고 성스러운 우리 조상들의 삶을 상징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징은 인간정신의 에너지이다. 합리주의는 상징에 의한 창조적인 능력을 파괴하여 버렸다. 천둥은 이미 분노한 신의 음성이 아니며 동굴은 더 이상 산신령의 거처가 아니다. 즉 인간과 자연과의 접촉이 없어져 버린 동시에 상징적 결합이 창출하여온 정감적 에너지도 소멸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합리주의에 젖은 현대인들에게는 상징화된 삼국유사의 설화가 해석되고 분석되어야만 그 의미와 가치를 알 수 있다. 그것은 비속함이 아니라 신성(神聖)임을 밝혀내야 한다. 신성임을 밝히는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삼국유사의 전반적인 개요를 고찰하지 않으면 안 되리라 본다. 여기서는 삼국유사의 내용을 분석하기 전에 일연의 생애, 저술동기 및 전체적인 구성과 체재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남윤. “일연의 삼국유사” 『동서양고전』서울: 방송대학교 출판부, 2002.
송창범. “일연의역사인식과 삼국유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일연 저․이민수 역, ꡔ삼국유사ꡕ, 을유문화사, 1994. 8
김상현, 「삼국유사 왕력편 검토 ― 왕력 찬자에 대한 의문」, ꡔ동양학ꡕ 15, 1985.
〃 ,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의 불교사관』
이재호, 「삼국유사에 나타난 민족자주의식 ― 특히 그 체재와 의례에 대하여」, ꡔ삼국유사연구ꡕ 上, 영남대, 1983.
정구복,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고찰」, ꡔ三國遺事의 종합적검토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이기백,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의』, 진단학보 36, 1973.
〃 , 『삼국유사 기이편의 고찰』, 신라문화 1, 1984.
〃 , 『삼국유사 왕력편의 검토』, 역사학보 107, 1985.


하고 싶은 말
일연의 삼국유사에 대해 조사한 레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