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와 교육 보고서

 1  신체와 교육 보고서-1
 2  신체와 교육 보고서-2
 3  신체와 교육 보고서-3
 4  신체와 교육 보고서-4
 5  신체와 교육 보고서-5
 6  신체와 교육 보고서-6
 7  신체와 교육 보고서-7
 8  신체와 교육 보고서-8
 9  신체와 교육 보고서-9
 10  신체와 교육 보고서-10
 11  신체와 교육 보고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체와 교육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이 인간 형성이나 변용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이라고 한다면, 「교육」은 인간의 「신체」를 무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도 지금까지의 교육학과 교육사 연구 관심은 인간의 「신체」보다도 「마음」이나 「지(知)」쪽으로 압도적으로 쏠렸다. ... 위기감으로 가득한 오늘날의 교육을 넘어 미래의 교육을 창조하기위해서라도 혹은 는 교육사의 주제로 새로운 가능성에 가득 차 있다. (츠지모토 마사시 本雅史)
제 1절 신체의 관점에서 본 교육사의 가능성
1. 근대학교에서 신체 관점의 결여
교육사연구는 교육학의 일환이었고, 교육학은 근대학교제도와 그 교원양성을 전제로 성립해왔다. 근대학교는 현재를 살아가기 위한 「지」(즉 「근대적 지」)를 다음 세대(아동)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근대적 지」는 단적으로 말해, 인간을 심신이원론적 구성으로 파악하는데 마음이 구성한 주체적 「지」로, 인간고유의 본질을 찾아냈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데카르트 이후 유럽에서의 일이다. 여기서 신체는 마음(정신)에서 독립한 실체이고, 마음(주체)에 대응하는 물질세계에 속해있다. 물질세계는 기계론으로 파악되는 객관세계이다.
이 근대적인 인간관이나 심신론에서 교육은 아동 주체(지)의 육성이야말로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 아동 마음의 발달이 주제로 되었다. 여기에서 신체는 학교교육의 주요 관심이 될 수 없었다. 역으로 말하면, 교육학·교육사연구의 주제로 신체가 떠오른 것은 근대나 학교교육 그 자체가 문제화되어 그 존재 의의를 되묻는 문맥에서였다. 근대 비판의 계보와 신체
2. 근세 학습의 신체성
역사적으로 보면 전근대적 인간관은 심신이원론이 아니라 심신일원론으로 구성된 것이 보통이었다. 적어도 일본 전근대에는 그랬다. 거기서는 학습 안에 신체가 포함되어 있었다. 기타무라 미츠코(北村三子)는 이를 「신체 전체를 미디어로 하는 학습」으로 표현했다.(「統的なびと近代育」『近代育フォラム』13, 2004年).
- 「습자」의 목표는 첫째로 능서(能書) 능력이며 둘째로 다양한 문서 서식 습득이다.
- 경서의 「소독(素讀)」 : 아동기에 경서(經書, 漢籍)를 의미 이해 없이, 구독사(句讀師)의 훈독을 앵무새처럼 똑같이 따라하고, 텍스트를 그대로 암송하는 학습 과정이며, 신체 독서로, 의미이해를 꾀했던 근대의 묵독과는 이질적이다. 소독(素讀)의 과정은 「텍스트의 신체화」
(本雅史「育のシステムのなかの身-貝原益軒における習と身」『江の思想』第6卷,ぺりかん社, 1997年; 本編『育の社文化史』放送大育振興, 2004年).
3. 「계고(稽古)」의 지평 - 신체에서 마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