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참관 보고서 말하기 수업

 1  수업 참관 보고서 말하기 수업-1
 2  수업 참관 보고서 말하기 수업-2
 3  수업 참관 보고서 말하기 수업-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업 참관 보고서 말하기 수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형적인 경상도 억양(발음)으로 가르치는 것과 단어나 문장의 끝 부분을 약간 흘리듯 발음하는 것이 상당히 아쉬웠습니다. 가능한 표준어에 가까운 억양으로 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학생들과의 상호 교류를 위해 학생들 가까이에서 문제를 푸는 것은 좋은 점이라고 생각하지만 지나친 동선의 이동은 자칫 어수선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수업시간에 교사의 구두 소리가 신경이 쓰이기도 했습니다.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을 위해 말하기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눈을 서로 마주 보면서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테이블이 없는 원형 구조의 의자 배열은 오히려 학생들이 교사의 등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므로 수업의 집중에 방해 요인이 될 것 같습니다. 학생들은 수업 내내 고개를 숙인 채로 교과서를 보고 있고, 교사는 서서 학생들이 풀 문제를 지시하는 위치에 있어 서로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의자 배열이 좋을 듯 합니다. 카메라가 돌아가는 상황에 초급 학생들이라 긴장 된 부분이 있긴 했지만 교사의 지시에 따라 문제를 상당히 잘 풀고 있어서 교사와의 호흡이 잘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2. 내면적 측면 - 학습목표, 동기유발, 수업모형, 보충자료, 판서, 피드백
말하기 수업은 대부분 패턴 학습과 정형화된 표현을 많이 활용하여 수업이 진행되었고, 먼저 교과서 부교재 문제를 풀고 난 뒤 교사가 따로 준비한 텍스트로 말하기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특히 ‘잃어 버리다’ 와 ‘잊어 버리다’의 차이를 설명할 때 교사가 ‘손’과 ‘머리’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 것과 ‘거리’를 설명할 때 그림을 그려서 설명한 것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좋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또한 교사의 지속적인 ‘왜’라는 질문에 학생들이 단답형이 아닌 좀 더 긴 문장의 형태의 말하기로 유도된 것은 좋은 점이라 생각되었고, 비록 학생들이 긴 문장으로 대답은 하지 못했지만 ‘왜’ 라는 질문에 자신이 말하고 싶은 어휘를 사전을 통해 찾아보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킨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한국어를 왜 공부하는가?’ 에 대한 질문에 교사가 프랑스 말을 왜 공부하고 싶은 지를 간단하게 예로 들어 설명한 것도 학생들에게 말하기 동기부여가 되었다고 생각하며 대체적으로 수업 목표와 진행은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문법의 오류를 지나치게 간섭할 수 없는 초급수준의 학생들이지만 발음은 말하기 영역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어 2권을 학습한 학생들은 한국어의 발음 규칙은 모두 학습한 상태이므로 잘못된 발음이 화석화가 되지 않게 연음, 격음, 경음은 초기에 수정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 말하기 수업 4권(중급) 참관 보고서 -
1. 외형적 측면 - 교사의 음성, 동선, 학습 환경, 학생의 호응도
여전히 경상도 억양으로 가르치고 있으나 목소리는 한층 더 밝고 학생들과 친밀해 진 것 같습니다. 발화 속도도 초급에 비해서 빠르고 학생들과 긴 문장으로 대화를 하고 있어서 초급과 사뭇 다른 분위기의 수업진행이 이루어진 것 같습니다. 교사의 몸짓과 동선은 초급과 별반 다른 것은 없었으나 모둠 활동 때 교사의 성실한 피드백으로 학생들이 열심히 과제를 수행하도록 만든 것 같아서 보기 좋았으며 모둠활동과 개인3분 말하기에서도 대체적으로 매끄러운 학습 진행이 된 것 같습니다. 교사와 학생 모두 한층 더 여유로워 진 것 같으며 교사는 단지 안내자 역할을 하는 정도의 편안한 수업 진행이 된 것 같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강의하실 때 입으신 복장과 머리에 계속 신경을 쓰고 있어서 학생들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가게 한 것 같습니다.
2. 내면적 측면 - 학습목표, 동기유발, 수업모형, 보충자료, 판서, 피드백
수업의 목표를 제시하기 전에 학생이 나와서 자신이 쓴 글을 읽고 단어를 설명하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