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개념 사회적 가치의 의도적인 재구성

 1  교육의 개념 사회적 가치의 의도적인 재구성-1
 2  교육의 개념 사회적 가치의 의도적인 재구성-2
 3  교육의 개념 사회적 가치의 의도적인 재구성-3
 4  교육의 개념 사회적 가치의 의도적인 재구성-4
 5  교육의 개념 사회적 가치의 의도적인 재구성-5
 6  교육의 개념 사회적 가치의 의도적인 재구성-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의 개념 사회적 가치의 의도적인 재구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개념(concept)과 정의(definition)는 차이가 있다. 정의라는 말은 어떤 용어의 여러 가지 의미 중에서 특정한 하나의 뜻을 선택하여 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교육의 의미를 정의하려고 한다면, 그 정의 수는 교육을 언급한 문헌의 수만큼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그것의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여 이해하지 못하면 혼란을 겪을 수 있다. 교육의 실체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교육에 대한 적절한 정의가 필요하기도 하지만, 정의를 내리는 사람의 신념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정의가 옳다거나 그르다고 말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무엇보다도 단일한 정의를 채택하는 것이 생산적이지 못한 이유는 그 용어가 정의된 시점의 사회·역사·정치적 맥락이 무시됨으로써 용어가 지닌 풍부한 의미를 살필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되기 때문이다.
반면 개념은 사물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이나 지식을 의미하며 개개의 사물로부터 공통적·일반적 성질을 뽑아내서 이루어진 표상(表象)이다. 그리고 개념은 다수의 사물·과정에 대한 사회적 실천 가운데서 널리 쓰이는 판단을 전제하고 기초로 하여 형성된 것이다. 개념은 사물·과정이 비교되어 사고 속에서 그 구성요소로 나누어지고(분석), 그 본질적 특징은 비본질적 특징에서 구별되어(추상), 본질적 특징들이 개괄되는 과정 속에서 형성된다. 개념이 지닌 본질적 특징들의 총계가 ‘내포’(intension)라고 하는 반면,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적용범위를 ‘외연’(extension)이라고 한다. 내포가 빈약해지면 외연은 넓어지고, 내포가 풍부해지면 외연은 좁아지는 상호관계를 맺고 있음(출처: 『철학사전』 「개념」항목).
따라서 정의라는 말 대신 교육에 대한 학자들의 생각, 즉 교육의 개념을 중심으로 그 개념의 사회·역사·정치적적 맥락에서 교육을 이해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에 대한 개념의 종류를 살펴본 후, 20세기 주요 교육학자인 뒤르켐(E. Durkhaim), 듀이(John Dewey), 피터스(R. S. Peters), 그리고 정범모가 제시한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면서 현대적 시각에서 교육의 재개념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2. 교육 개념의 종류
교육의 개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어원적 개념, 교육내용(사상)적 개념, 그리고 교육 현상적 개념으로 분류된다. 본 발표문에서도 먼저 이를 간략하게 요약함으로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교육의 어원적 개념은 동양과 서양에 있어서 차이기 있다. 먼저 한자의 ‘교육(敎育)’은 맹자의 진심장 상편에 처음 등장하며, 교(敎)는 ‘부모나 교사가 손에 막대기를 들고 자식이나 학생이 본받도록 함을 의미’하며 육(育)은 ‘어머니가 지식을 낳아 키우고 가슴으로 안음을 의미’한다. 우리말의 교육을 의미하는 ‘가르치다’는 말은 ‘가리키다’와 동일한 어원의 말로 ‘갈다’(바꾸다, 부여하다, 연마하다)라는 의미와 ‘치다’(때리다, 기르다)라는 의미가 합쳐서 ‘방향을 제시하는 의미와 선별, 분별, 판단, 연마, 사육, 생성, 성장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반해 서양의 교육의 어원적 개념은 ‘학생의 능력을 밖으로 이끌다’는 의미와 ‘아동을 인도하다’는 의미의 어원을 가진다. 영어의 교육(Education)은 라틴어 에두카레(Educare)에 그 어원을 두고 있으며, 밖으로 이끌어 낸다는 과정상의 활동을 의미한다(e(out) + ducare(ducere, bring up, lead up, draw up)). 교육학(Pedagogy)은 그리스어 파이다고고스(Paidagogos)에 어원을 두고 있으며, 과거 그리스에서 해방된 노예출신의 교양 있는 그리스 인이었던 교복(pedagogue)이 5세~15세의 자유 시민계급 소년이 학문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함(인도함)을 의미한다(paida(child) + gogos(drawing)). 독일어의 교육을 의미하는 에르치훙(Erziehung) 역시 밖으로 이끌어 낸다는 의미(er(aus/auf) + ziehen)를 가지고 있으며, 교육을 의미하는 또 다른 독일어 빌둥(Bildung)은 교육의 도야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음.
서양의 이런 교육 개념은 소크라테스의 산파술,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상기설,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진리의 인식 가능성과 교사의 역할,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진리에 대한 지식은 영원한 대상을 관상(contemplation)함을 통해 얻는다고 했다. 그는 진정한 지식을 신이 이미 인간 속에 깃들여 놓았기 때문에 신의 조명을 통해 그것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학생 자신이 관상을 통해 스스로 진리를 찾고 터득하도록 자극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봄.
아퀴나스(St. T. Aquinas)의 ‘발견’과 ‘교수에 의한 학습’, 아퀴나스는 자신의 『진리론』(De Veritate) 제11문 「교사론」(“De magistro”)에서 환자가 체력만으로 회복될 수도 약의 도움으로 회복될 수 있는 것처럼, 지식을 얻는데도 ‘발견’(discovery)과 ‘교수’(learning by instruction)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주장했다. 전자는 선천적인이성이 스스로 미지의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학생의 선천적인 이성의 작용을 다른 사람이 도와서 지식을 알도록 하는 방법임.
그리고 피히테의 ‘새로운 국민교육’ 등에도 반영되어 있다. 또한 브루너(Jerome Bruner)의 발견학습 및 구성주의 교육관이 가지고 있는 교육의 개념과 일맥상통한 측면이 있다. 구성주의 교육관의 대표적인 학자는 피아제(Jean Piaget)와 비고츠키(Lev S. Vygotsky)이다. 피아제는 학생의 인지발달은 교사의 수업내용을 학생 자신의 수준에 맞추어 이해하는 동화(assimilation), 동화로서 적응되지 않을 때 현실상황이나 환경에 잘 조화될 수 있도록 바꾸는 조절(accommodation), 그리고 동화와 조절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적응과정인 평형화(equilibration)라는 세 가지 기본적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비고츠키는 학생이 타인의 도움 없이 인지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을 ‘실제발달수준’(level of independent development), 교사(성인)의 도움을 통해 실행 가능한 수행 수준을 ‘잠재발달수준’(level of potential development), 그리고 이 두 수준 간의 차이를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라고 보았다. 학생이 잠재발달수준에 이르도록 교사가 도움을 주는 것이 비계(scaffolding)이며, 이것은 학생 스스로 학습을 통해 인지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학습(assisted learning)을 의미함.
참고문헌
참고문헌
Ambjornsson, Ronny. (2014). Ellen Key and the concept of Bildung. Confero, 21(1), 133-160.
Aquinas, Thomas. "St. Thomas Aquinas works in English." Retrieved from http://dhspriory.org/thomas/ 2015.10.23 검색
Dewey, J. (1897). My pedagogic creed. School Journal, 54, 77-80. Retrieved from http://dewey.pragmatism.org/creed.htm.
Dewey, J. (19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Chicago: U of Chicago P.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Y: Macmillan. 이홍우 역·주석(2008). 민주주의와 교육. 개정·증보판. 서울: 교육과학사.
Durkheim, E. (1922). Education and sociology. Sherwood D. Fox, trans.(1956). NY: Free Press.
Peters, R. S. (1966).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이홍우 역(1980). 윤리학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권정선·허경섭·김회용(2013). 듀이 교육목적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탐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5(5), 1088-1101.
김대현·김석우(2008).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개정 2판). 서울: 학지사.
김윤섭(2002). 교육학 강의(개정 2판). 서울: 한올출판사.
김종서·이영덕·정원식(2009). 최신 교육학 개론(개정·중보). 서울: 교육과학사.
성태제 외(2013). 최신 교육학 개론(2판). 서울: 학지사. 28-39.
엘렌 케이(1909). 어린이의 세기. 정혜영 역(2012).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유재봉(2013). 교육의 개념적 기초(1장). 최신 교육학 개론. 성태제 외(2013). 서울: 학지사. 14-49.
정범모(1968). 교육과 교육학. 서울: 배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