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교육의 기점 연구 토론문

 1  한국 근대교육의 기점 연구 토론문-1
 2  한국 근대교육의 기점 연구 토론문-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근대교육의 기점 연구 토론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연구는 근대교육의 기점 설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면서, 다시 한 번 그 시점에 대해 생각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근대교육 기점 중 가장 유력하게 인정받고 있는 두 시점은 첫째, 1885년 선교사 아펜젤러가 설립한 배제학당을 기점으로 하는 것과, 1883년 원산학사, 18세기 후반 서당, 일제 조선통감부 설치 이후 등 이다.
정재걸은 세 가지 근대교육 시점의 설에 대해 검토하면서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배제학당을 시점으로 보는 것에 대한 논의이다. 배제학당을 근대교육의 시점으로 보는 것에 대해서 오천석은 교육사상과 교육운영방침으로 논하고 있다. 교육사상적인면은 학당훈인 欲爲大者當爲人役(욕위대자 당위인력)에서 보고 있다. 이는 과거의 교육목적이 개인의 영달과 가문을 빛내는 것에 비해 ‘크게 되려는 사람은 마땅히 남에게 봉사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라는 성격적 메시지에 기인한 것이라 과거의 그것과는 다른 것이다. 교육운영방침은 6가지를 들면서 구교육과는 다르다고 주장한다. 차기석 역시 근대교육을 규정하는데 있어서 오천석과 비슷하게 주장하고 있다. 과연 과거의 교육사상이 개인의 영달만을 바라는 것이며, 교육운영방침은 두드러지게 과거 서당의 것과 구별되는 모습을 보이는 가에 대해 연구자는 의문을 가진다. 기독교적 선교학교가 한국 근대교육에 영향을 미쳤으며 어느 정도 발전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겠지만 그것이 근대교육의 시발점이 되었다고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원산학사설에 대한 검토이다. 신용하는 근대교육으로 원산학사의 설립에 대해 여러 가지 논거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신의 손으로 설립하였다는 점, 둘째, 정보의 개화정책에 앞서 민중들이 기금을 만들어갔다는 점, 셋 째, 애국적 동기로 근대학교가 설립되었다는 점, 넷째, 교육기관인 서당을 개량서당으로 발전시켰다가 근대학교로 발전 시켰다는 점, 다섯 째, 개화파 관료와 민중의 호흡이 일치하였다는 점 등이다. 그러니 신용하가 인용한 , 등의 내용 등을 검토하였을 때 원산학사의 근대성을 보여주는 특별한 근거가 없다는 것을 들어 비판하고 있다.
셋째, 정순우의 연구를 토대로 한 서당설에 대한 검토이다. 이 설은 우리나라 자생적 근대교육의 출발을 봉건교육의 해체라는 내부 요인에 두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정순우의 연구에서 조선 후기 사회변동에 나타나는 교육양상들이 근대의 기점을 새롭게 설정한 지표와 교육주체, 교육내용 등을 제시하고 나름대로의 의의를 제기했다.
정재걸의 논문은 근대교육의 시점에 대해 위의 세 가지 설을 검토하면서 근대교육의 준거로 4가지 설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기회의 보편화, 둘째, 교육의 세속화, 셋째, 교육의 민주화, 넷째, 교육내용의 근대성이다. 이를 통해 각각의 설에 대해 검토를 하고 각각의 문제점과 긍정적인 면을 제시하고 있다.
비단 교육기점에 대한 논의 뿐 아니라, 시대의 변화, 흐름을 시대적으로 구분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세계적인 사건, 예를 들어 세계대전이나 공황 등과 같은 시점은 사회경제학적 시대 구분에 즐겨 사용된다. 서양식 학당의 건설이나 민족주의의 발현으로 세워진 학교가 과연 교육의 기점을 구분할 만한 중요한 사건인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
시대 간격구분을 두고 여러 가지 사건에 의해 교육이 변화했다라고 보는 것이 더 논리적이지 않을까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1880년 경 약 10년의 시간 동안 우리나라에는 근대교육이 시작되었으며 그 계기는 배재학당, 원산학사 등의 건립이라 볼 수 있다.’라는 식의 논리이다. 학교의 설립이 근대교육의 시작에 힘을 실어줄 수도 있겠지만, 그 이외 주민들의 교육에 대한 욕구, 시대적 배경 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