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

 1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
 2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2
 3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3
 4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4
 5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5
 6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6
 7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7
 8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8
 9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9
 10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0
 11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1
 12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2
 13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3
 14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4
 15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5
 16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6
 17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7
 18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8
 19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19
 20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 개화기 초등교육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개화기 초등 교육
1. 시대적 배경
2. 교육사상과 목적
3.교육제도와 교육개혁
4. 보통학교의 교육내용
5. 교육방법과 평가
6. 교사자격과 교육

Ⅲ. 개화기 초등교육의 전개
1. 개화기 초등교육의 특징 1
2. 개화기의 초등교육의 특징 2
3. 개화기 초등학교들의 교과목 비교 -소학교령에 따른 교과목 편제

Ⅳ. 개화기 초등학교 교과 내용 및 교육 방법
1. 국어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법
2. 수신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법
3. 산술, 수학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법
4. 물리, 화학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법
5. 박물학 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법
6. 미술교육의 내용 및 교육방법 (습자, 도화, 수공)
7. 체육교육의 내용 및 방법 (체조)
8. 음악교육의 내용 및 방법 (창가)


Ⅴ. 개화기 신교육 사상의 대표적 인물

Ⅵ. 일제시대
1. 시대적 배경
2. 당시 초등교육 현황
3. 교육사상과 목적
4. 교육제도와 대상
5. 보통학교 (소학교․국민학교)의 교육내용
6. 보통학교(소학교․국민학교)의 교수방법
7. 교사자격과 교육
Ⅶ. 결론
[참고 문헌]
[부록]
본문내용
우리나라에 근대적인 초등 교육이 시작된 시기는 개화기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초등 교육 기관의 역할을 하는 서당이 예전부터 있어 오기는 했지만 그곳은 근대적인 의미의 교육을 하는 곳은 아니었다. 하지만 홍범 14조가 선포되고 소학교령이 제정되면서 근대적인 초등 교육의 관제가 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이런 개화기의 교육을 살펴봄으로서 초창기 우리 라 초등 교육의 맥을 잡을 수 있을 것이며 현재와의 공통점을 통해, 또한 그 시대에서의 초등 교육의 획기적인 변화가 주는 시사점에 의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현재의 초등 교육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또한 개화기 초등 교육의 국어 수신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서 100년 전의 교육 내용을 알고 현재와의 유사점 차이점을 알아 감으로서 우리가 현재 접하고 있는 7차 교육 과정에서의 교육 내용을 좀더 창의적이고 즐겁게 교수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이번 이 연구는 또한 100년 전의 교과서를 직접 읽고 체험을 하는 내용이 포함이 되어 있어서 현재의 교과서와의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연구라서 더욱 더 조사와 분석을 하게 되었다.


1. 시대적 배경
1900년대 근방 조선은 개항을 하고 일본과 병자 수호 통상조약을 맺었으며 그 이후에 미국 영국 독일 러시아 이탈리아 프랑스 호주 등과의 조약을 체결하고 근대적인 이념과 사상이 마구 들어오는 시기였다. 이들 나라의 문물은 가히 획기적인 것이었고 조선의 현재까지의 기술이나 한학 위주의 교육을 통해서는 이룰 수 없는 많은 것들을 그들이 이룩하고 있었다. 그것에 자극을 받은 조선은 정부는 정부대로 그들의 교육을 받아들여서 서당이 아닌 새로운 체제의 교육을 기획하고 시행을 하게 되었으며 각각의 나라에서 들어온 여러 선교사들은 그들 나름의 교육 사업을 펼쳐 나갔다. 이에 자극을 받은 민족 운동가들도 그들 나름의 교육을 만들어 나갔다.
참고문헌
조연순. 「한국초등교육의 기원」. 학지사 (1995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한국교육사」. 교육과학사(1997)
우용제 외, 「근대 한국 초등교육 연구」, 교육과학사(1998)
이광린, 「미국 유학시절의 유길준」, 개정판『한국 개화사 연구』, 일조각, 1974
김흥수, 「개화세력의 교육사상」, 국사편찬위원회, 1999
유영익, 「서유견문에 나타난 유길준의 개혁사상」, 한일문화교류기금, 1990
김흥수, 「개화세력의 교육사상」, 국사편찬위원회, 1999
나성원, 「유길준의 교육사상」,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5
서재복, 「유길준의 개화교육사상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1
원유한, 「구당 유길준의 교육사상연구」, 교육학연구 14권 3호, 1976
김영자(1997). 한국 개화기의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유재옥(1989). 개화기를 전후한 학교음악교육의 변천. 경희대 석사학위 논문
허경(1996). 개화기 초등학교 설립현황 및 교육실태 분석. 이대 석사학위 논문
전윤숙(1983). 구한말 개화기의 학교 체조교육. 연대 석사학위 논문
정태진(1987). 한국 미술 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을 중심으로. 홍대 석사학위 논문
조연순(1995). 한국초등교육의 기원. 서울 : 학지사
한국 초등교육 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김홍석 저, 경원대 교육대학원 2000년도 석사 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