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교실 자료 개발 및 적용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3학년 지리 영역 중심1

 1  거꾸로 교실 자료 개발 및 적용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3학년 지리 영역 중심1-1
 2  거꾸로 교실 자료 개발 및 적용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3학년 지리 영역 중심1-2
 3  거꾸로 교실 자료 개발 및 적용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3학년 지리 영역 중심1-3
 4  거꾸로 교실 자료 개발 및 적용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3학년 지리 영역 중심1-4
 5  거꾸로 교실 자료 개발 및 적용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3학년 지리 영역 중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거꾸로 교실 자료 개발 및 적용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3학년 지리 영역 중심1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거꾸로 교실이 우리 교육계에 주목을 받게 된 것은 2014년 KBS 다큐멘터리 3부작 ‘21세기 교육혁명- 미래 교실을 찾아서’ 시리즈가 방영 되면서부터이다. 많은 교사들은 학생들을 지도하며 항상 ‘나는 과연 잘 가르치고 있는가?, 아이들이 나의 설명을 잘 이해하고 있을까?’라고 질문하며 더욱 더 잘 가르치기 위해 고민하고 노력을 하게 된다. 거꾸로 교실 또한 이러한 고민에서 시작된 두 교사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되었다.
거꾸로 교실 수업의 창안자인 존 버그만과 애론 샘즈는 “학생들과 마주하는 시간을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단 하나의 질문에서 그에 대한 해답으로 거꾸로 수업을 제안하였다. 교실에서 가장 소중한 자산은 날마다 학생들과 함께 지내는 시간이다. 배움을 극대화하기 위해 교사들은 이 금쪽같은 시간을 지렛대로 활용해야한다. 학생들을 향해 매일 같이 떠드는 것은 수업 시간을 활용하는 최선의 방법이 아니다. 학생들은 어려운 개념이나 문제에 부닥쳤을 때 교사를 가장 필요로 하지만 정작 기존 교실에서 교사는 도움을 줄 수 없다. 수업 시간을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은 학습활동을 보다 풍부하게 만들고 알맞은 경험을 녹여 내는 것이다. 존 버그만애론 샘즈 지음(2015), 정찬필임성희 옮김, 거꾸로 교실, 에듀니티
전통적인 수업이 교실 내에서 교사의 청강, 교실 밖 과제 활동으로 이루어졌다면 거꾸로 교실은 교실 밖에서 필요한 개념이나 활동에 대한 안내를 교사가 제작한 동영상을 통해 사전 학습하고 교실 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진정한 학습자-중심의 교육과 수업 시간의 효율적 활용을 꾀하고 있다.
초등 사회과는 학습 내용이 과다하고 용어, 개념 등이 어려워 학습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과목 중에 하나이다. 특히 초등학교 3학년의 경우 이전학년까지 슬기로운 생활을 통해 주제중심, 활동중심의 통합 교육을 받아 사회과에 대한 지식이나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것들이 생소하며 어렵고 낯설게 다가올 수 밖에 없다. 교사의 입장에서도 학생들이 어리다 보니 다양한 활동을 통해 개념을 스스로 습득하기를 원하지만 40분이라는 짧은 단위 시간과 다양한 학습자 구성, 활동 중 예상치 못한 변수의 발생으로 제대로 된 활동은 해보지도 못하고 결국 우격다짐으로 지식 전달만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전희옥(2014)은 이러한 면에서 사회과 거꾸로 교실이 학습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중심 사회과 교실을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
거꾸로 교실이 학습자-중심의 유의미한 학습 방법이다라고 이슈가 되어 부각되기도 하였지만 우리 나라 초등교육이 담임 체제로 모든 과목을 이수해야하는 한계로 인하여 실제 사례와 선행 연구, 현장 실천이 대부분 중고등학교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수학과에서 정민(2014)의 ‘Flipped Classroom 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어과에서 장은주(2015)가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 (Flipped Learning) 적용 방안 연구가 있으나 초등 사회과 교육 현장에서 거꾸로 교실의 실행 연구가 풍부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처음 접하게 되는 1단원(지리영역)을 거꾸로 교실로 재구성하여 모형을 제시하고 실행에서의 한계점과 개선 방향,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태도의 변화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Ⅱ.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이론적 배경
1) 거꾸로 교실의 개념
전통적인 교실 환경에서는 교사 중심의 일제식 수업이 이루어 왔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은 이런 수업에서 수동적으로 교사의 일방적 전달을 수용하는 입장이었다. 물론 이러한 전통적인 수업 방식이 모두 부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다양한 학습자의 문화적 다양성, 학습 다양성을 모두 포괄하기에는 전통적 수업 방식이 갖는 한계점은 분명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수업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이라고 할 수 있으며,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은 블랜디드 러닝의 새로운 형태로서 온라인 상에 교육관련 강의나 동영상 등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사이트가 늘어남에 따라 각광을 받게 된 미래지향적이고 대안적인 수업 방법이다. 김수철(2014.12), 수학과 ‘거꾸로 교실’ 수업을 위한 교과서 활용 방안 탐색-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제 17권, 제 3호, P. 265
참고문헌
참고 문헌
1. 존 버그만애론 샘즈 지음(2015), 정찬필임성희 옮김, 거꾸로 교실, 에듀니티
2. 존 버그만애론 샘즈 지음(2013), 임진혁외 2인 옮김, 당신의 수업을 뒤집어라, 시공미디어
3. 김수철(2014.12), 수학과 ‘거꾸로 교실’ 수업을 위한 교과서 활용 방안 탐색-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제 17권, 제 3호
4. 이민경(2014), 새로운 교실 만들기의 가능성, 교육학연구프리즘
5. 방진하(2014),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6. 박기범(2014), 사회과 교육에서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함의
7. 전희옥(2014), 사회과 거꾸로 교실 수업모형 개발, 사회과교육연구
8. 박상준(2015), 거꾸로 교실 모형의 개발과 적용 사례의 연구, 사회과교육연구
9. 장은주(2015),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 (Flipped Learning) 적용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