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교육3

 1  고려시대의 교육3-1
 2  고려시대의 교육3-2
 3  고려시대의 교육3-3
 4  고려시대의 교육3-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시대의 교육3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가가 형성되면서 교육기관 또한 발전을 거듭해왔다.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에는 관학이 확실히 자리잡기 시작하고 사학 또한 생겨났지만 그래도 사학이 관학보다 더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그래서 관학의 쇠퇴가 일어나는 일 까지는 없었다. 그렇지만 고려시대에는 사학이 관학을 누르고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일이 생겨난다. 그래서 고려시대의 교육에서 사학은 굉장히 큰 의미를 차지한다. 사학에서는 관학과 다른 교육방법을 사용하였고 과거에 붙을 수 있도록 학생들을 철저히 교육시키면서 관학의 쇠퇴와 더불어 사학의 진흥을 가져온다. 역사적 맥락으로 보면 사학이 진흥하면서 귀족들의 세력 기반이 더욱더 튼튼해졌다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학의 진흥 속에서 관학을 다시 교육의 중심으로 옮겨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 국자감에 설치하게 된 7재이다. 7재 성립 이후로 사학은 다시 관학을 보조하는 위치가 되었고 관학이 가장 중요한 교육과정을 차지하게 된다. 사실 지금 우리나라에서도 사교육이 공교육에 대한 보조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이끌어나가고 있다. 고려시대의 사학이 교육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관학의 진흥을 다시 가져온 7재에 대해 연구함으로서 지금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교육문제를 헤쳐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 7재란 무엇인가
1) 7재란?
7재는 고려시대 국자감에 설치한 7개의 전문강좌를 말한다. 1109년(예종 4) 사학(私學)에 뒤진 국학의 진흥을 위해 설치하였으며 《주역(周易)》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던 여택재(麗澤齋), 《상서(尙書)》를 강의하던 대빙재(待聘齋), 《모시(毛詩)》의 경덕재(經德齋), 《주례(周禮)》의 구인재(求仁齋), 《대례(戴禮:禮記)》의 복응재(服應齋), 《춘추(春秋)》의 양정재(養正齋) 등 6재와 병학(兵學)을 강의하던 강예재(講藝齋)를 7재라 하였다. 이 가운데 앞의 6재를 유학재(儒學齋), 병학의 강예재를 무학재(武學齋)라고도 하여 문 · 무 양학으로 구분하였으나, 유학재의 학생수는 60~70명이었던 것에 반하여, 무학재는 8~17명에 불과하였다.
2) 7재 설치의 배경
(1) 관학의 쇠퇴
성종 때 국자감이 완성되고 그의 노력으로 발전되어 갔지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고려의 관학은 쇠퇴하게 된다. 관학의 쇠퇴 원인을 살펴보면 국자감의 시설과 공급을 전액 국고에서 지급하게 되어 있어서 많은 경비가 들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현종 때 거란의 2차, 3차 침입을 받아 나라의 모든 국력을 이쪽에 쏟아야 했고 그 사이에 유교 중심의 학교 교육이 약화되었는데 이도 관학교육의 쇠퇴와 연관이 있다. 가장 중요한 원인은 이때부터 고려의 전반적인 교육정책에 일련의 통제 조치를 취함으로서 관학이 침체되고 사학이 진흥하게 되는 배경이 된다. 현종 15년(1024)년의 사료를 보면 지방 학생들의 관학을 통한 정계 진출을 제한하는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관학의 발달을 저해 하게 되었다. 또한 덕종 때에 예부시의 예비시험인 국자감시가 실시되었고 그 후에 입학생이 만 3년이 경과한 후에 국자감시에 응시할 수 있다는 내용이 추가 되었으며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국자감이 쇠퇴하게 된다. 이러한 관학의 쇠퇴와 동시에 사학이 진흥하게 되면서 관학은 완전히 침체의 길로 들어가게 된다.
(2) 사학의 진흥
관학이 쇠퇴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문종대 이후로 사학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최충이 설립한 9재학당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는데 당시 국자감이 시설 교육면에서 부족하여 학업 지망생이나 과거 응시자들이 권위 있는 유학자가 세운 사학으로 모여들면서 성황을 이루게 되었다. 이로서 다른 유학자들도 사학을 설립하기에 이르렀고 이 때에 생겨난 것이 12개가 되었다. 그래서 사학의 권위는 국자감을 능가하였고 점차 과거를 준비하는 예비학교의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전후복구사업과 국자감에 대한 여러 조치로 인하여 관학이 침체되면서 사학이 발달되는데 한편으로 당시 국자감의 교육내용이 과거와 직접 관계가 없었으므로 과거와 직접 관계 된 내용을 가르치는 사학을 더 선호하게 된 것도 사학의 진흥의 원인이 되었다. 발전을 거듭하여 사학 12도는 관학을 능가할 정도로 발전하였으며 이로서 국자감의 폐지를 주장하는 상소까지 나오게 되었다.
3. 7재의 설치
1) 7재의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