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

 1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
 2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2
 3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3
 4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4
 5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5
 6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6
 7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7
 8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8
 9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9
 10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0
 11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1
 12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2
 13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3
 14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4
 15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5
 16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6
 17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7
 18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8
 19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조의 기원 및 발생시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시조의 기원에 대한 논의
1.외래 연원설
1)한시기원설 2)불가기원설
2.재래 연원설
1)신가기원설 2)민요기원설 3)향가기원설 4)속요기원설 5)음악기원설
3.시조생성론
Ⅲ. 시조의 발생시기에 대한 논의
1.고려 말 정착설 2.16세기 발생설
3.15세기말설 4.절충설
Ⅳ. 나오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시조는 우리 시가 문학사에서 가장 오랜 생명력을 지닌 장르로서, 오늘날에도 국민 문학으로 계속 발전해 내려오는 우리 고유의 정형시다. 육당은 시조문학을 가리켜 ‘조선 문학의 精華며, 조선 시가의 本流며, 한국 시가 문학의 가장 빛나는 꽃’이라고 했다.
이러한 시조 문학에 대한 연구는 일반론, 작가론, 작품론 등 전 분야에 해당하는 다양한 연구와 논의가 다른 어느 문학 장르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그 연구 업적 또한 多大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 글에서는 그 범위를 시조의 기원 및 발생 시기로 한정하여 이제까지 이에 대해 전개한 여러 논자들의 주장과 그 주장의 논거들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시조의 기원에 대한 논의

시조는 그 기원을 어디에 두고 있는가에 관하여 여러 학자들의 설이 紛紛하여 왔다. 또한 한 사람의 전후 箸書나 논문 중에도 학설이 바뀐 것도 있고, 동일 저서 중에도 해석에 따라서는 전후의 학설이 相異한 점도 있다. 이것들을 크게 갈래지워 보면 외래 연원설과 재래 연원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용문, 시조문학원론 (백산출판사, 1999)
이태극, ‘시조의 형태적 연원고 ’(이대한국문화연구원, 1974)
조동일, 한국 시가의 전통과 律格 (한길사, 1982)
김석호, 시조의 한시수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 석사학위논문, 2000)
진동혁, 고시조 문학론 (夏雨출판사, 2000)
이성주, 시조 발생에 대한 고찰(관대논문집, 1986)
조윤제, 국문학 개설 (탐구당, 1973)
김준영, 국문학 개론 (형설출판사, 1983)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0)
최동원, 고시조론 (삼영사, 1980)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대출판부, 1986)
김수업, 시조의 발생 시기에 대하여 「시조론」(일조각, 1980)
장덕순, 한국문화사의 쟁점 (집문당, 2001)
조윤제, 朝鮮詩歌史綱 (태학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