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

 1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1
 2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2
 3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3
 4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4
 5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5
 6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6
 7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7
 8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8
 9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9
 10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10
 11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11
 12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12
 13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13
 14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조선 후기 시조집 편찬의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시조집 편찬의 배경

Ⅲ. 시조집 편찬의 목적 및 의의

Ⅳ. 대표적인 시조집의 특성
1.『청구영언(靑丘永言)』(김천택, 1728년)
1)『청구영언(靑丘永言)』의 특성
2) 편찬자 김천택의 특성

2.『해동가요(海東歌謠)』(김수장, 1755년)
1)『해동가요(海東歌謠』의 특성
2) 편찬자 김수장의 특성

3.『가곡원류(歌曲源流)』(박효관, 안민영, 1876년)
1)『가곡원류(歌曲源流)』의 특성
2) 편찬자 박효관의 특성
3) 편찬자 안민영의 특성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조는 우리 문학의 전통적 양식 가운데서 가장 오랜 동안 많은 사람들에 의해 창작, 가창되고 다수의 작품이 현전하는 갈래이다. 고려 말엽 발생하여 조선시대에 본격적으로 융성하게 된 시조는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그동안 창작되었던 많은 시조들을 모아 시조집으로 편찬되게 된다.
시조집은 당대까지 향유된 시조예술에 대한 종합적인 보고서이며 이를 편찬하고 대본으로 활용한 집단의 성격을 반영한다. 따라서 시조집들의 편찬배경이나 존재 양상, 그리고 작가 수록의 신뢰도 등을 엄밀히 따져 작가나 수록된 작품의 성격을 명확히 구명하는 것은 작품의 분석과 후기 시조문학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 데 큰 의미를 지닌다.
이에 여기서는 18세기 초 편찬된 시조집『珍本 靑丘永言』, 18세기 중반 편찬된『海東歌謠』, 19세기에 편찬된 『歌曲源流』를 중심으로 각 시조집의 특성 및 시조집의 편찬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용찬, 『18세기의 시조문학과 예술사적 위상』, 1999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정병욱, 『한국 시가문학의 탐구』, 신구문화사, 1999
■정재호, 『한국 시조 문학론』, 태학사, 199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
■전규태, 『한국고전문학대계』, 명문당, 199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웅진출판사, 199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