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

 1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1
 2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2
 3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3
 4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4
 5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5
 6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6
 7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7
 8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8
 9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9
 10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10
 11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11
 12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12
 13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13
 14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14
 15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15
 16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
  •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 /교육심리학2017/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 [교육사회학]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현학교교육에 어떤 문제제기를 하는가
  •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매슬로우(Maslow)의~1
  •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 [방통대 전학과 4학년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 소개글
    [교육심리] 새로운 개념의 지적능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통적인 지능관
    ■ 지능에 대한 관점들
    2. 다중지능이론
    가드너가 제시한 8가지 지능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전통적 지능관과 다중 지능 이론 비교
    3.영상 자료를 통해 본 ‘지적 능력’
    레인맨
    아마데우스
    포레스트 검프
    굿 윌 헌팅
    4. 다중지능이론과 학교교육
    ■ 참고 기사(다중지능이론 적용 사례)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존의 우리 교육을 '한 줄 세우기 교육', 즉 획일적인 교육이라고 비난하였다. 이 한 줄 세우기 교육의 근원은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찾을 수 있다.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고, 논리를 활용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 등을 보통 지능(intelligence)이라고 부른다. 이 지능은 측정이 가능하며, 이 측정의 결과를 통하여 학습 성패의 예측을 가능하게 생각하였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은 어떤 표준화된 인지적 역량(力量)이라고 가정하고, 비교적 쉽게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인간의 능력, 특히 지적 능력을 측정하고자 많은 노력이 있어왔지만, 그 중에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한 사람이 프랑스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이다. 1904년 프랑스 교육부 장관은 비네와 그의 동료 심리학자들에게 '학습 위기'(at risk)에 처한 초등학교 학생들을 판별하여 보충학습을 시키려는 목적으로 이들을 판별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만들어 달라고 요구하였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오늘날 잘 알려진 지능검사이다(Snowman & Biehler, 2000). 비네가 만든 지능검사는 학생들의 장래 학업성패를 예측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교실 수업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활동들이 요구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따라서, 비네의 첫 지능검사는 기억력, 주의집중력, 이해력, 변별력, 그리고 추리력에 관련된 인지과정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지능검사가 가지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가정은 지능이라고 알려진 인간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었고, 이를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 사회 통념이었다.
    참고문헌
    김명희·김영천(1998). 다중지능 이론: 그 기본 전제와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16(1), 299-330.

    김명희·정태희(1997). 미국의 다중지능 교육.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학회), 5(2). 3-25.

    손승현(1998).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수업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용린(역) (Gardner, H.). 다중지능 이간 지능의 새로운 이해.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