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사회운동의 연구현황 및 향후 과제

 1  제주지역사회운동의 연구현황 및 향후 과제-1
 2  제주지역사회운동의 연구현황 및 향후 과제-2
 3  제주지역사회운동의 연구현황 및 향후 과제-3
 4  제주지역사회운동의 연구현황 및 향후 과제-4
 5  제주지역사회운동의 연구현황 및 향후 과제-5
 6  제주지역사회운동의 연구현황 및 향후 과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주지역사회운동의 연구현황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회운동에 관한 학술적 연구동향에 영향을 미친 정치사회적 조건은 크게 두 가지 측면을 강조할 수 있는데, 첫째는 사회운동연구에 관한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현실 사회운동의 확산’을 들 수 있으며, 둘째는 그에 대한 연구활동을 둘러싼 정치체제의 특성과 선택적 친화력을 갖는 사회과학 패러다임이다(조대엽, 2007). 여기에 더해 지역의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의 경우, 그것을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연구자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제주의 사회운동은 한국사회의 변동 및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라 발생되어 왔다. 전국적인 사회변동에 따라 유사한 사회운동들이 발생한 것도 있지만, 타 지역과는 다른 지역특성이 운동의 발생과 전개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이재수란과 4.3항쟁은 그 대표적이다.
근대사회에서 발생한 사회운동은 크게 조선 후기와 구한말에 이르는 시기에 전국적으로 발생한 민란, 일제하 항일독립운동, 해방공간에서의 좌우익운동, 독재정권 시기 관변단체의 활동과 재야민주화운동, 그리고 87년 민주항쟁이후 다양하게 분화된 사회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1987년 민주항쟁 이후, 사회의 민주화에 따라 형성된 시민사회가 주도한 운동은 그 주체와 목적, 그리고 내용에 있어서 그 이전에 비해 매우 풍부해졌다. 그와 더불어 여러 가지 지역주민운동도 발생하였다.
2. 연구사 및 주요 연구자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사후적이며, 기록의 성격을 강하게 갖고 있다. 지난 100여 년 동안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는 주로 1980년 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전의 것은 향토사학자가 정치적 사건 등에 대한 사실기술이었고, 이러한 글 또한 민중적 관점에 기반하지 않았다. 더불어 4.3을 겪으면서 많은 자료들이 불에 타 없어진 것도 연구수행의 어려움이라고 할 수 있다(조성윤, 1995). 사회운동의 발생순서에 따른 사회운동 연구사에 대한 정리는 다음과 같다.
조성윤(1995)은「제주도 근대사회운동의 재조명」을 통해 조선후기의 민란과 일제하 항일운동 등 제주도 근대사에 나타난 사회운동의 역사적 의의에 대해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박찬식(2008)은 4.3의 전사로서, 일제하 사회운동 중 실력양성운동과 청년운동, 조직적인 사상운동, 그리고 해녀투쟁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4.3 진상규명운동의 역사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제주도연구회(2004)에서는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해 조명을 한 적도 있다.
해방이후 발생한 4.3과 관련해서 자주적 독립국가를 건설하려던 사회운동으로서 4.3과 그 이후 진상규명운동에 대한 논문들이 있다(수업 첫 시간에 다루었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독재권력 하에서 저항적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는 운동발생 자체의 어려움으로 인해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1987년 민주항쟁이후 사회운동이 분출하면서, 그에 대한 연구들도 많아졌다. 부만근(1997)은 행정학자로써 제주지역의 주민운동에 대한 개괄적 분석을 통해 정책대응을 제시하였다. 윤철수(2007)는 인터넷신문 기자로써 87년 민주항쟁 20주년을 기념하여, 그 당시 벌어졌던 일들에 대해 기사화 한 것을 책으로 엮었다.
특정운동에 대한 연구로 조성윤(1995, 1998)과 조성윤문형만(2000)은 골프장건설 반대운동과, 탑동 공유수면매립 반대운동, 그리고 송악산 군사기지 설치반대운동에 대해 개발사업의 개괄, 반대운동의 형성과 전개과정, 운동의 성격과 함의를 주요내용으로 기술하고 있다. 또한 조성윤(2003)은 지난 30년 동안 진행되었던 제주도 지역개발정책과 이에 반대한 주민운동, 근대화 개발철학에 대한 검토를 통해 주민운동의 전망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이들 논문을 통해서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와 논문작성 방법에 대해 참고할 수 있을 것 같다.
운동을 수행하는 조직에 대한 분석도 있다. 정치학자 한석지(2001)는 제주지역의 대표적인 시민단체인 ‘범도민회’에 대한 조직분석을 통해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후 몇 년이 흘렀지만, 당시 제기된 문제에 대해 보완여부를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없는 점이 아쉽다. 여기에 더해 제주여민회 사무국장을 지냈던 허오영숙(2006)은 1980~1990년대 제주지역 사회운동 조직에 대한 최소한의 역사와 목록을 만드는데 주안점을 뒀고, 그들의 특징으로 1) 섬이라는 지정학적 특징이 주는 변방의식, 4.3이라는 화두, 지역주민운동에 적극 결합, 활발한 문화운동 조직, 민족민주운동의 이른 몰락과 노동운동의 상대적 약소, 90년대 중반 이 후 시민운동 조직의 성장, 제주시 중심의 운동조직 등으로 정리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