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

 1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1
 2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2
 3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3
 4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4
 5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5
 6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6
 7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7
 8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8
 9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9
 10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하나의 사건 두 개의 시선 The Monitor Model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The influence of stephen Krashen on language education reserch and practice is undeniable. first introduced over 20 years ago, his theories are still debated today.
1980년대에 들어서자 언어습득이 언어이론과 연계 그 이론적인 우위성을 얻게 되었는데, 특히 Krashen의 감시자 모델은 대다수의 언어 교육전문가에 가장 잘 알려진 이론으로서 언어 습득이론을 정립하는데 대부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 Krashen의 감시자 모델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
Krashen은 제 2언어 및 외국어의 습득은 두 가지 다른 독립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하나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의사 소통을 통하여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습득(acquisition)이고, 다른 하나는 주로 교실과 같은 언어 학습 환경에서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습(learning)이다. 습득과 학습의 구분은 감시자 모형에서 아주 중요한 전제가 되는데, Krashen은 습득과 학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렸다. (Krashen, 1982, p. 10)
Acquisition is a process similar, if not identical to the way children develop ability in their first language. Language acquisition is a subconscious process; language acquirers are not usually aware of the fact that they are acquiring language, but are only aware of the fact that they are using the language for communication. The result of language acquisition, acquired competence, is also subconscious. We are generally not consciously aware of the rules of the languages we have acquired. Instead, we have a "feel" for correctness. Grammatical sentences "sound" right, or "feel"right, and errors feel wrong, even if we do not consciously know what rule was violated.
(해석)언어 습득은 아이들이 그들이 제 1언어(모국어)의 능력을 개발하는 방식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과정이다. 언어 습득은 무의식적과정이다. 언어습득자들은 그들이 언어를 습득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통은 깨닫지 못하지만 의사소통을 위해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다. 언어 습득의 결과, 즉 습득된 능력 또한 무의식적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습득한 언어들의 규칙을 의식적으로 깨닫고 있지는 못하다. 대신, 맞고틀림(correctness)에 대한 느낌(feel)을 지니고 있다. 문법적으로 바른 문장은 옳게 들리거나 옳게 느껴진다. 틀린 문장들은 틀리게 느껴진다. 비록 우리가 어떤 문법적 규정이 어겨졌는지 의식적으로 알지 못하더라도 말이다.
The second way to develop competence in a second language is by language learning. We will use the term "learning" henceforth to refer to conscious knowledge of a second language, knowing the rules, being aware of them, and being able to talk about them. In non-technical terms, learning is "knowing about" a language, known to most people as "grammar," or "rules." Some synonyms include formal knowledgeof a language or explicit learning.
(해석)제2언어(=외국어)의 능력을 개발하는 두 번째 방법은 언어 학습을 통해서이다. 지금부터 학습(learning) 이라는 용어는 제2언어의 의식적 지식, 규칙의 인지, 규칙을 깨닫음, 규칙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능력 등을 지칭할 때 사용하겠다. 비전문적 용어사용의 관점에서는 learning 은 문법이나 문법규칙으로 알려진 언어에 대해 "아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의 공식적 지식" 또는 "명시적 학습"이라는 말들도 유사한 용어들로 볼수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