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

 1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1
 2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2
 3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결측치를 포함하거나 성의 없이 작성되었다고 판단되는 사례는 분석에서 제외한 2,298명의 자료 사용됨), 초등학생754명, 중학생 784명, 고등학생 768명, 성별은 남학생 48.2%, 여학생 51.8%, 가족구조는 부모동거가족 84.6%, 부모해체가족 15.4%.
2. 측정도구
가족건강성 척도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 척도(김현주·이혜경, 2009)를 사용. 가족건강성 하위 항목은 화목한 가정분위기(7개 문항), 활동공유(3개문항), 갈등조절(3개문항)로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a=.9068
학교생활부적응
문선모(1984)의 척도를 민명희(2004)가 재구성한 것을 초등학교, 중학교,고등학생들에게 적용가능하도록 설문 문항 일부수정함. 학습관련태도(5개문항), 학교에서의 행동(5개 문항), 학교행사 관계(5개 문항)등 15개문항(요인구성에 해당되지 않은 문항과 요인계수값이 낮은 문항 2개삭제). 4점척도로 점수의 범위는 1점에서 4점.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a=.8902
교사와의 관계와 친구와의 관계
김연희(1999)의 척도사용. 교사와의 관계를 측정하는 문항은 5개문항. 친구와의 관계는 개발당시 7개문항(김연희, 1999)-요인계수값이 5.0이하인 문항은 삭제
3. 자료처리
SPSS 통계프로그램과 Amos 5.0을 이용하여 분석.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경로관계 검증은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요인들 간의 직접 영향에 관한 분석과 다른 요인에 매개되어 영향을 미치는 간접 영향에 대해 분석. 구조모형 분석위해 모수추정치인 경로계수와 표준오차 다중상관자승의 분석실시
II. 프로그램 결과 분석 및 논의
1.가족구조에 따른 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가족건강성, 학교생활부적응의 수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