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

 1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1
 2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2
 3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3
 4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4
 5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5
 6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6
 7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7
 8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8
 9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9
 10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10
 11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11
 12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12
 13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어문법] 중·한 친족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대비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친족(직계외)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공통점과 그 원인 분석
2.1.1 친족(직계외)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공통점
2.1.2 친족(직계외)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공통점의 원인 분석
2.2 친족(직계외)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차이점과 그 원인 분석
2.2.1 친족(직계외)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차이점
2.2.2 친족(직계외)에 대한 지칭어 및 호칭어의 차이점의 원인 분석
2.3 연구의 적용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중·한 두 민족은 모두 아시아의 동북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서로 접하고 있다. 주지하듯이 한(韓)민족은 장기간 "한자"를 매체로 중국 대륙의 문화를 받아들여 왔다. 지금도 한국어는 고유어와 한자어의 이중적(二重的) 어휘구조를 가지는 언어이다. 그래서 중국인으로서 한국어를 배울 때나 번역할 때 중국어와의 공통점을 느낄 수도 있고 때론 차이점을 느낄 수도 있다.
친족의 지칭어 및 호칭어는 어느 언어에서나 기초적인 단어가 된다. 친족이란 것은 혼인과 혈연을 기초로 하여 상호간에 관계를 가지는 사람이다. 혼인을 기초로 하여 관계를 맺는 사람이 자기 부인의 친족이고 혈연으로 기초로 하여 관계를 맺는 사람이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의 친족이다. 여기서는 아버지의 친족은 남자로 갈라지는 관계에 따라 직계와 방계로 나뉘는데 직계는 조부·부·자·손과 같이 조부로부터 손자에로 곧바로 이어나가는 관계이고, 방계는 형제·조카 등과 같이 공통의 조상을 통하여 갈라지는 관계이다. 이와 같은 관계에 있는 사람을 각각 직계친(直系親)·방계친(傍系親)이라 한다. 또 직계(방계)혈족·직계(방계)존속·직계(방계)비속 등으로 쓰이고 있다. 또 방계 친족이란 방계 혈족과 방계 인척으로 구분한다. 방계 혈족이 자기와 같은 시조부터 갈려나간 혈족, 즉 백숙, 백모, 생질 형제 자매이다. 방계 인척이란 것은 방계 혈족들이 혼인을 통해 맺는 관계로 되는 친족이다. 또한 아버지의 친족 중에서 여자로 갈라지는 친족에는 고모계 친족이 있다. 어머니의 친족을 대부분 외족이라고 부른다.
참고문헌
김종호, 「현대중국어문법」, 서울: 신아사 , 1998년.
전남대학교 대학국어 편찬위원희,「한국의 언어와 문화」, 전남: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9년.
김선히, 「우리 사회 속의 우리말」, 서울: 한국문화사, 2001년.
하영삼, 「문화로 읽는 한국」, 사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년.
고려민족문화연구원?중국어대사전편집실(편) , 「중한사전」, 서울: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2년.
명지출판사, 「한중사전」
민중출판사, 「국어사전」
이벤허, 「중국인의 생활과 문화」, 서울: 김영사, 1994년.
이두만, 「중국인적의식구조」,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7년.
김동진, 「중국의 언어와 문화」, 공주: 공주대학교출판부, 1998년.
여익평, 「한어어법기초」, 북경: 상무인서관, 2000年.
반문국·엽보청·한양, 「한어적구사법연구」, 臺灣: 대만학생서국인행, 중화민국팔십이년
엽비성·서통장, 「어언학강요」, 북경: 북경대학출판사,
중국사회학원어언연구소사전편집실, 「현대한어사전」, 북경: 상무인서관출판, 1996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