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종교문화 태초의 말씀에서 다원주의까지

 1  현대사회의 종교문화 태초의 말씀에서 다원주의까지-1
 2  현대사회의 종교문화 태초의 말씀에서 다원주의까지-2
 3  현대사회의 종교문화 태초의 말씀에서 다원주의까지-3
 4  현대사회의 종교문화 태초의 말씀에서 다원주의까지-4
 5  현대사회의 종교문화 태초의 말씀에서 다원주의까지-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사회의 종교문화 태초의 말씀에서 다원주의까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문화는 현대로 올수록 적용범위가 확장되어 왔다. 오늘날에는 인간이 의식적으로 하는 모든 일을 ‘문화’라고 부른다. 이러한 넓은 의미의 문화에는 당연히 종교도 포함되어 ‘종교문화’라는 표현도 가능하다. 서양사를 이끈 서양문화의 두 가지 큰 흐름을 ‘기독교적 전통’과 ‘그리스적 전통’으로 얘기하며 이 둘은 각각 종교와 철학, 신앙와 이성에 대응시킬 수 있다.
종교를 철학적으로 문제 삼는 분과를 ‘종교철학’이라고 부른다. 종교학과 종교철학은 다르다. 종교학은 종교현상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일종의 경험과학인 반면에 종교철학은 종교현상을 철학적으로 비판하고 반성한다.
종교와 철학, 신앙과 이성은 한편으로는 상호 보완적이다. 기독교의 교리는 그리스 철학으로부터 압도적인 영향을 받아 확립되었다. 사도바오로는 그리스철학에 정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로 시작되는 요한복음에서는 그리스 철학의 흔적이 발견된다. 여기서의 ‘말씀’은 그리스 말로는 ‘로고스’로 그리스 철학을 관통하는 핵심개념이다. 그런가 하면 흔히 교부철학은 플라톤 철학의 기독교화요 스콜라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철학의 기독교화라고 말한다.
그러나 종교와 철학, 신앙과 이성은 다른 한편으로는 적대적이기도 하다. 테르툴리아누스는 그리스철학으로 기독교적인 것을 말하는 모든 시도에 극력반대했다. 그는 아테네와 예루살렘, 아카데미아와 교회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도 없다고 보았다. 신의 아들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가 어이없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것은 “불가능하기에 확실하며” “불합리하기에 믿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신앙과 이성은 오래도록 서로 가까이하기에는 너무 먼 당신으로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성을 전적으로 배제하는 신앙주의와 신앙을 거부하는 독단적 이성주의가 바로 그것이다.
이와는 달리 안셀무스는 “알기위해 믿는다”고 했고 아우구스티누스는 “알기 위해서는 믿고, 믿기 위해서는 알라”라고 권유했다. 교황 바오로 2세도 1998년 이라는 제목의 회칙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적 화해를 촉구하기도 했다. “할 수 있다면 신앙과 이성을 연결시켜라”라는 보에티우스의 권유는 여전히 유효하다.
2. 종교의 출발점으로서의 인간의 유한성
실로 인간은 온갖 번민으로 얼룩진 존재다. 인간은 누구나 이러한 번민으로부터 해방되기를 간절히 원한다. 그런데 인간의 온갖 번민은 따지고 보면 인간의 유한성에서 온다. 바로 그 유한성의 절정은 죽음이다. 인간은 언젠가 죽을 것이라는 것을 알지만 인간은 그것에 내몰리지 않고 변화나 소멸을 겪지도 않으며 한결같이 존재하는 영역을 꿈꾸어왔다. 이처럼 유한한 존재인 인간은 절대적 가치를 종교에서 찾는다. 종교의 세계는 이성만으로는 결코 미치지 못하는 세계요 오직 자아를 완전한 절대자에 귀의시키는 신앙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세계다. 인간은 유한한 존재요 그와 동시에 자신의 유한성을 자각하는 유일한 동물이다. 바로 이 점에서 인간은 ‘종교적 동물’이 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3. 신은 존재하는가?
신은 존재하는가? 어떤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확신시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문제가 되는 것을 그에게 보게 하거나 만지게 하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경험은 이미 알고 있는 지식과 감정, 욕구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쉽다. 때문에 신의 경험이나 계시나 기적에 의존해서 신의 존재를 정당화하기 어렵다. 그런 까닭에 철학자들은 오랜 세월을 두고 신의 존재를 합리적으로 논증하려고 시도해왔다. 즉 신앙과 이성, 종교와 철학의 접촉점을 구하려고 시도해왔다.
신의 존재에 대한 논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존재론적 논증, 우주론적 논증, 그리고 목적론적 논증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신의 존재에 대한 논증 가운에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것은 존재론적 논증이다. 칸트는 신의 존재에 대한 모든 논증이 결국 존재론적 논증으로 돌아간다고 했다. 이 논증은 신이 완전한 존재라는 것을 전제로 해서 그가 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완전하다’는 말은 ‘존재한다’는 속성도 포함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 논증을 시도한 대표적인 인물은 안셀무스인데 그는 신을 ‘생각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이상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는 실재’로 보았다. 그런데 어떤 것이 우리의 마음속에 존재하면서 동시에 실제로도 존재한다면 그것은 마음속에 관념으로만 존재하는 것보다 위대하다. 따라서 신은 가장 위대한 존재이기 때문에 관념 속에서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존재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