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

 1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1
 2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2
 3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3
 4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4
 5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5
 6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6
 7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7
 8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8
 9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문제]반사회성 인격장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우리사회에 나타나는 현황들

Ⅱ. 반사회성 인격장애가 사회문제화가 된 이유(이론적 접근)

Ⅲ. 해결점과 그 대안

Ⅳ. 맺음말

Ⅳ. 부록

본문내용
개인과 사회 및 국가의 전반적인 복지와 건강의 지표에서 정신건강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증하고 있고, 국민들 또한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은 신체건강과 신체질환에 비하여 정책적 관심이 매우 미흡하였다. 2001년에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4억 5천만명이 정신질환‧신경학적 질환‧약물 및 알코올중독과 같은 심리 사회적 문제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전체 질병의 부담에서 정신 및 행동장애가 차지하는 비율이 12%로 보고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나라에서 건강관련지출의 1% 이하만이 정신건강 혹은 정신보건에 투입되고 있다고 한다(WHO 2001).
우리나라에서도 정신장애인에 대한 보호와 대책은 가족이나 민간 시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므로 국가의 개입은 매우 소극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민간이 주도하는 서비스전달체계가 먼저 발전하여 정신보건 자원이 지역과 계층에 따라 불공평하게 분배되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접근이 기존에 입원치료와 수용보호에서 ‘지역사회정신보건(community mental health)'으로 일컬어지는 지역을 중심으로 한 보호 및 관리체계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1995년 12월에 정신보건법이 제정되고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1997년에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공포됨으로써 명실상부한 정신보건사업의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특히 1999년 1월에는 장애인 복지법이 개정되어 정신장애인도 장애인복지법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그렇다면 정신장애란 무엇인가? 정신장애는 정신병과 정신질환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사고, 정서, 행동이 병리적으로 특징 지워지는 장애를 일컫는다. 사고장애의 예로는 비논리적 사고, 비합리적인 생각 및 망상 등이 있으며, 정서장애의 예로는 만성적이면서도 강력한 불안, 분노 및 우울 등을 볼 수 있다. 행동장애의 예로는 극도의 불안이나 초조, 강박적인 섭취, 알코올 및 약물의 남용을 들 수 있다. 정신장애는 정신질환과 달리 질병자체의 활발한 진행 외에도 질병으로 인한 기타 사회적 기능의 손상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질병의 증상이 없어진 후에도 질병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해당이 되는데, 만성정신장애가 여기에 해당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정신장애를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에서는 8가지의 장애로 구분 짓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인격장애, 인격장애 중에서도 반사회성 인격장애로 인한 사회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반사회성 인격장애란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범하는 인격장애라고 정의하기도 하며, 또한 도덕심이나 양심이 결여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사회의 범법행위, 거짓말 등 타인의 권익을 뺐는 행동을 충동적으로 반복하는 경우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