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문주의 NeoHumanism

 1  신인문주의 NeoHumanism-1
 2  신인문주의 NeoHumanism-2
 3  신인문주의 NeoHumanism-3
 4  신인문주의 NeoHumanism-4
 5  신인문주의 NeoHumanism-5
 6  신인문주의 NeoHumanism-6
 7  신인문주의 NeoHumanism-7
 8  신인문주의 NeoHumanism-8
 9  신인문주의 NeoHumanism-9
 10  신인문주의 NeoHumanism-10
 11  신인문주의 NeoHumanism-11
 12  신인문주의 NeoHumanism-12
 13  신인문주의 NeoHumanism-13
 14  신인문주의 NeoHumanism-14
 15  신인문주의 NeoHumanism-15
 16  신인문주의 NeoHumanism-16
 17  신인문주의 NeoHumanism-17
 18  신인문주의 NeoHumanism-18
 19  신인문주의 NeoHumanism-19
 20  신인문주의 NeoHumanism-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인문주의 NeoHumanism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 인 문 주 의
Neo - Humanism
시대배경
프랑스혁명(1789~1794), 미국의 독립(1776), 산업혁명 (18c 중엽~)
- 절대주의 붕괴, 시민사회의 발전, 자본주의 경제체제 발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에 걸쳐 수많은 변혁과 갈등을 겪는 격동의
시대.
* 한국 : 숙종, 경종, 영조의 즉위기간 (17c후~ 18c중) - 대동법, 상평통보, 탕평책
신인문주의란?
-18세기의 주지주의와 합리주의, 이성주의,
실리주의, 공리주의 등 합리적이었던
계몽사상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사상.
-인간소외 문제에서 출발
신인문주의 특징 1
15~16세기 구인문주의 즉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기의 인문주의와 구별하기 위한 이름.
인문주의란 이름에서 예견되듯 그리스의 정신을 가져오고자 노력을 하는 사조이다.
르네상스 인문주의
신인문주의
시대
15~16세기
18~19세기
인간성의 발달
고대 로마 문화에 중점
그리스의 조화로운 인간상 추구
성격
귀족중심, 개인주의적
정의, 국민, 사회, 역사적
중점
형식중심
(언어, 문장, 생활방식)
내용중심
(세계관, 인간관, 사상)
학습방식
기계적 모방
계발주의적 방식
*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신인문주의 차이점
신인문주의 특징 2
독일을 중심으로 전개 (19c초~)
문학, 사상, 철학과 같은 인간정신의 내면적 생활을 부활
로마의 고전과 희랍의 고전을 존중( 그들의 세계관이나 인생관 그 자체를 존중)
고전문화에 대한 자각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자신과 역사와 민족성을 근거로 하여 국민문화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정의주의, 역사주의, 민족주의, 국가주의를 강조
*( ↔ 계몽사조 : 주지주의, 합리주의, 개인주의, 공리주의, 반역사주의, 반국가주의)
도야
인간의 소질이나 능력을 계발하여 바람직한 상(像)으로 형성하는 과정.
근대 독일 교육학의 빌둥(Bildung)이라는 개념을 도야라고 번역한 이후
로 교육학상의 기본적 개념이 되었는데, 빌둥은 자연의 일부분인 물체
를 조소(彫塑)하는 사람의 작용을 뜻하는 빌덴(bilden)이라는 동사에서
유래하였다. 18세기 신인문주의자는 인간성의 내면적 형성은 그리스적
교양을 지님으로써 가능하다고 여기고, 도야(陶冶)된 인간을 교양인이
라고 생각하였다.
고전주의 - 특징
정신 및 세계관에 있어서 계몽주의의 합리적인 관점을 넘어서서 다시 인간의 비합리적인 힘을 관철시키려고 시도하였다. 그 때 고전주의는 계몽주의에서 소홀히 했던 영역, 특히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발견하게 되었다.
전체 움직임 가운데에서 서로 반대되는 경향들을 종합하고자 한 훌륭한 시도 즉 합리적 요소와 비합리적 요소는 일정한 평형
자유와 법칙의 종합, 즉 인간 안의 개인적인 것과 초개인적인 것의 종합을 목표로 하였다.
고전주의는 단지 법칙만이 우리에게 참된 자유를 줄 수 있고, 거장은 일종의 제약 가운데에서 나올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견해는 도덕성 및 도야뿐 아니라 예술에도 그대로 해당되었다. 이제 “이념”이 역사적 특수성 위에 있는 보편적 이성으로서가 아니라 특수한 것 안에 있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해될 때, 방만한 삶보다는 자발적인 자기 제한, 곧 “이념”에 대한 몰아적인 헌신이 중요하였다.
헤르더 (J.G. Herder, 1744-1803)
출신: 동프로이센 리가(Riga)에서 교사, 목사로 활동
1769년- 프랑스로 바다여행을 하면서 이에 관해 정신사적 및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여행일지(Reisetagebuch) 작성
1770년- 슈트라스부르크에서 젊은 시절의 괴테와 우정을 맺음
1771~76년- 뷔케부르크(Buckeburg)에서 궁정목사로 활동
1776년~ 바이마르(Weimar)에서 교회 및 학교제도의 장(長)으로서 활동.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