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

 1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
 2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2
 3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3
 4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4
 5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5
 6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6
 7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7
 8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8
 9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9
 10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0
 11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1
 12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2
 13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3
 14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4
 15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5
 16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6
 17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7
 18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8
 19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19
 20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금기어와 완곡어 및 전문어와 새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금기어란 무엇인가
1-1.금기와 금기어의 정의
1-2.금기의 발생원인
1-3.금기어의 특성
1-4.금기어의 문화
2.금기 발생의 심리학
2-1.공포
2-2.연상
2-3.회피
2-4.운명론과 풍수사상
2-5.행동경계
3.금기어의 조사 목적과 가치
∬완곡어
1.완곡어 개념과 생성
2.완곡 표현 범주
2-1.완곡어의 상황적 요인의 중요성
2-2.문장 범주의 완곡 표현
2-3.남성과 여성의 언어행위에 대한 완곡어
∬전문어
1.전문어의 개념
2.전문어의 특징
2-1.일상어와 전문어의 구분
2-2.대응하는 일반어휘가 없고 의미의 다의성이 적다
2-3.신어의 생성
2-4.외래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3.전문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20
4.결론
∬새말
1.새말이란 무엇인가
2.새말의 탄생
3.새말의 문제점
4.새말이 가져다준 문제점의 해결책
5.새말의 장점
6.새말을 만드는 그 방법과 그 예시
7.외국으로부터 들어온 새말, 여러 가지 재료로 만드는 새말
8.근대에 생겨난 여러 가지 새말들
9.새말의 종류와 그 밖에
10.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금기란 사전적 풀이로 볼 때 ‘꺼리어서 싫어하는 것’이란 뜻을 지닌다. 싫어한다는 말은 인간을 중심으로 능동성을 지닌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점에서 금기어는 ‘거리끼고 싫어하는 대상, 또는 행위’를 표현한 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말은 어떤 대상이나 존재, 또는 일을 신성시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함으로써 ‘고상하고 좋은 상태에서 나쁜 상태로 떨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유의할 점은 금기어의 범주는 언어학적인 범주라기보다는 사회문화적인 범주라는 점이다. 언어학은 정확한 기준을 적용하여 언어 형식이나 틀을 나눈다. 그러나 사회학은 일정한 틀을 마련한다 해도 정확한 분류 기준을 세우기는 어렵다. 따라서 통계나 사유를 바탕으로 기준을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나누는 이의 주관이 개입될 우려가 높다. 그렇기 때문에 금기어, 전조어 또는 예조어. 앞으로 다가올 일을 나타내는 것. 인간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초인간적 요소를 갖거나 인간의 행위가 미치기는 하나 행위의식이 없는 꿈이나 우연한 행동 등을 포함한다. 이것은 길조어와 흉조어로 나눌 수 있다. 길조어는 오랜 생활을 통해 언어화하여 기억 전승된 것으로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과 희망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인간에게 해로움을 가져다 주는 부정적인 내용을 담은 것은 흉조어이다.
, 흉조어, 길조어를 혼동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 금기어.
최현섭(1983), ‘경기도 팔탄면의 금기언’ 특집호, 인천교육대학, 117-139쪽.
허재영(2000), , 역락출판사, 255-270쪽,
http://cafe.naver.com/chinajin/284
www.munstar.com
http://home.pusan.ac.kr

◎ 완곡어.
김미형(2000), , 《한말연구》, 한말연구학회.
조혜선(1999), ,《한국커뮤니케이션학》,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우윤식(2003), ,《외대논총》제24집, pp.339-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