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

 1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1
 2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2
 3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3
 4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4
 5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5
 6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6
 7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7
 8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급 가족 간호학 미숙아 가족간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계보건기구(WHO)와 우리나라의 모자보건법(제1조 2항 1호)은 미숙아를 재태 기간 37주
미만에 출생하는 신생아로 정의하며, 대체로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가 많다. 출생체중에 따라 1,000g 미만의 초극소저출생 체중아, 1,500g 미만의 극소저출생체중아, 및 2,500g 미만의 저 출생 체중아로 분류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총 출생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소, 총 미숙아수는 증가 추세이고, 미숙아 출생률도 1995년 2.5%, 2000년 3.8%, 2005년 4.7%, 2010년 5.9%로 증가하는 추세이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KNSO], 2011). 또한 다태아의 출산비율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다태아 중 미숙아의 출생비율은 단태아보다 무려 14배 이상 높은 39.9%를 차지한다(Shin et al., 2005). 우리나라의 영아사망률은 1993년 9.9%, 2005년 4.2%, 2009년 3.2%로 현저한 개선이 있었다(Korea Institu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2009). 이것은 OECD 평균 영아사망률인 4.7%에 비해 낮은 수치이다. 이러한 개선은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고위험 신생아(미숙아, 저체중출생아, 선천성 이상아) 사망률의 감소에 기인한다(Lee, Lee, & Shin, 2009). 근래 신생아 집충 치료기술의 발달로 과거 생존이 어렵다고 생각했던 출생 시 체중 1,500g 미만의 극소미숙아의 생존율도 76.7% 이상으로 향상되었고 24주 미만의 초 극소 저 출생 체중아들이 소생함으로써 생존한계를 극복하고 있다(Lee et al., 2010).
Ⅱ. 본론
1. 미숙아 가족의 특징
미숙아는 출생과 동시에 미성숙한 폐로 인한 호흡문제와 감염예방을 위해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게 된다(Lee, White-Traut, & Park, 2008). 미숙아는 출생 시 성숙정도와 주산기 질환에 따라 몇 주 혹은 몇 개월 동안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치료와 간호를 받는다(Lee, White-Traut & Park, 2008). 신생아의학과 신생아집중치료실의 발달은 미숙아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으나, 여전히 다양한 후유증을 경험할 확률이 높다(de Kleine et al., 2003). 미숙아의 획기적인 생존율 향상은 미숙아 망막증, 기관지 폐 이형성증, 신경발달장애, 뇌성마비, 발달장애 및 성장장애 등의 후기 합병증을 야기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기관지폐이형성증 등 이러한 질환들에 의해 폐조직의 미숙, 장기정인 인공호흡기 의존에 의한 높은 산소분압에서 오는 폐조직의 섬유화, 감염, 과다한 수액공급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간헐적 혹은 지속적인 산소흡입이 필요한 호흡기질환을 가진 미숙아들이 증가하고 있다(Adankim, 2006). 기관지폐이형성증의 경우 만성적인 가스교환장애로 장기간의 고농도 산소투여를 필요로 하고 폐말단조직의 괴사 및 섬유증식성 변화로 인해 기관지 확장제 치료를 병행하게 된다. 대부분의 기관지폐이형성증을 가진 미숙아는 폐의 성장발달 단계에 따라 생후 1-2년 정도에 호전된다. 따라서 기관지폐이형성증을 가지고 있는 많은 미숙아들은 병원에서 퇴원하여 체위배액, 흉부물리요법, 산소공급 등 가정에서의 만성적 호흡관리를 필요로 한다.
미숙아 망막증은 망막혈관화가 완성되는 제태기간 32주 전에 출생한 미숙아에게 고농도의 산소치료를 적용함으로써 발생하며, 영구적 시력장애를 줄이기 위해 성장발달을 고려하여 수술과 재활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숙아의 예후와 재활과 관련된 건강문제 중 하나는 뇌성마비이다. 뇌성마비란 조기에 나타나는 운동 및 자세장애를 일컫는다.
뇌성마비의 정도와 원인은 매우 복합적이나 출산과 관련된 뇌의 무산소증이 불가역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주로 신경근육계의 장애를 보이는 뇌성마비는 운동발달의 지연 및 장애, 근력의 변화, 비정상적인 자세, 각종 반사 이상 등으로 특징지어지며 성장해감에 따라 정신지체, 경련, 사회행동장애, 언어감각장애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뇌성마비는 3-6개월경 조기발견을 하여 이에 맞는 재활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뇌성마비 아동과 가족은 이러한 아동이 식사관리와 배변 등 기본간호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외에도 미숙아는 청각장애, 인식장애, 학습장애, 행동장애 및 미묘한 운동신경 장애들을 포함하는 경증신경장애 등 여러 단기, 장기적 장애 문제를 갖을 수 있다.
한편 의공학의 발달로 가정에서도 산소치료와 심전도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병원경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재원일수 단축에 따라 조기퇴원이 활성화되고 있다(Lee et al., 2009). 여러 가지 간호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태에서 조기 퇴원하는 미숙아 어머니는 아기가 입원해있는 동안에 신생아집중치료실이라는 잘 통제된 환경에서 아기의 관리를 의료진에게 전적으로 의존하였던 것과는 달리 가정으로 아기가 퇴원할 때는 아기 양육의 모든 책임이 부모에게 부여됨에 따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Kwon & Kwon, 2007).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경우 미숙한 아기의 출산으로 인해 실패감, 불안, 두려움, 죄의식과 같은 감정들을 경험하며, 특히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장기간 입원으로 인한 분리감과 퇴원 후 미숙아를 돌봐야 한다는 것에 대한 어머니 역할에 큰 스트레스를 느낀다(Hooper, 2000). 또한 미숙아로 출생한 아동에게 형제가 있다면, 미숙아의 부모는 자녀에게 관심을 분배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한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건강문제로 미숙아는 퇴원 후에도 응급실을 이용하거나 재입원하게 되는 경우도 많아 미숙아 부모는 미숙아 양육에 대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받기 원한다.(Kim & Shin, 2010). 신생아 집충 치료실에서 퇴원 후에도 호흡기계와 위장관계, 감염 등의 이유로 응급실을 이용하거나 재입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Lee, Lee, & Ehum, 2008). 성장과정 중에도 지속적으로 물리, 언어, 심리치료 등의 다양한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가정 내 의료비 지출의 증가요인이 된다(Phibbs & Schmitt, 2006). 이와 같이 미숙아의 출생은 그 가정에 심리적인 부담 뿐 아니라 경제적인 부담과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체계의 이용에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Lee, Lee, & Shin, 2009).
최근 모성취업률이 증가함에 따라 조부모나 친인척이 양육을 대신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여러 만성 질환이나 정신지체를 가진 환아의 형제들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일반적인 유전적 특성뿐만이 아니라 문화, 가족경험을 공유하는 관계이며, 성장 중이나 후에도 만남을 지속하며 영향을 지속받는다고 말하고 있다(Baumannm, Taylor Dyches, & Braddick, 2005).신경장애 등 장기적 장애를 갖게 되는 미숙아의 양육을 맡는 부모 외의 돌봄제공자나 그들의 형제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렇듯 미숙아 부모와 가족은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게 되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적절한 간호 사정과 중재를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