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

 1  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1
 2  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2
 3  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3
 4  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4
 5  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5
 6  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6
 7  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실학사상의 성립과 전개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의 철학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학’은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약칭으로 중국 『전한서』의 “학문을 닦고 옛것을 좋아하며, 실제의 일에서 옳은 것을 구한다.”는 말에서 연원한다. 한국에서는 매우 오래전부터 ‘실학’이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주칠성, 『조선시대 철학사상』, 한국학술정보, 2005, p.41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실학이란 각자에게 유용했던 ‘실용지학(實用之學)’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17세기 초 조선에서 형성되어 전개된 진보적 사회사조 및 학문연구방법을 의미한다. 당시 양반출신의 선진적인 지식계층은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서양 자연과학사상의 영향 아래 정주학의 청담공론에서 벗어나서 사물 혹은 실천을 통해 진리를 탐구하고 실제생활에 유용한 학문을 연구하려고 하였다. 간단히 말해 이른바 실학은 ‘실사구시(實事求是)’를 학문연구의 방법으로 견지하고, ‘실용지학(實用之學)’을 학문연구의 대상과 내용으로 하며, ‘경세치용(經世致用)’을 학문연구의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주칠성, 『조선시대 철학사상』, 한국학술정보, 2005, p.43
(2) 당시 사회 상황과 실학사상의 형성·발전
①17세기 이후 조선사회 역사발전의 필연적인 산물
임진왜란과 두 차례에 걸친 청나라의 침입을 거치면서 조선은 인구가 크게 준데다 유민까지 발생하였으며, 농경지도 대량으로 감소하여 농업생산이 심각하게 파괴되고 백성의 생활은 극단적으로 곤궁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조건 아래서 붕괴해가는 조선 봉건사회의 경제기초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봉건사회의 기본 생산수단, 즉 토지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하게서 양반계층의 진보적인 지식인들은 국가의 위기를 구하고 부강한 국가를 건설하기 위하여 토지개혁을 중심으로 하는 일련의 사회개혁안을 내놓았다. 유형원은 ‘균전제(均田制)’를 내용으로 하는 ‘과전제(科田制)’를 제기하였고, 토지개혁을 실학의 중심과제로 삼았다. 18세기 전반기의 실학자 이익도 토지문제의 해결과 ‘균전제(均田制)’의 실행을 실학의 중심문제로 삼았다. 18세기 말의 실학자 박지원의『한민명전의(限民名田議)』에서 논의된 전제개혁사상과 19세기 초의 실학자 정약용이 제기한 ‘여전제(閭田制)’등은 모두 토호 양반관료의 토지겸병을 방지하고 토지를 무토지 농민에게 분배함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적 여망을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것으로 볼 때 17세기로부터 19세기 전반기까지의 실학사상은 조선 봉건사회 생산력 발전이 요구를 반영하는 진보적인 사상체계였음을 알 수 있다. 주칠성, 『조선시대 철학사상』, 한국학술정보, 2005, p.44~45
②중국을 통해 전해진 서양 자연과학의 영향과 조선 자연과학의 성과에 기초하여 형성
중국과의 빈번한 왕래와 조선에 표류해 들어와 정착했던 외국인들을 통해 전래된 서양의 자연과학기술은 실학사상 형성의 중요한 조건중의 하나였다. 서양의 자연과학기술과 새로운 사상의 영향을 받고서 각성한 진보적인 학자들은 스스로를 반성하여 정주학 만능론을 회의하고 타파해 가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정주학이 실제로부터 벗어난 청담공론임을 들춰내고 국가와 백성의 생활에 보탬이 되는 학문에 종사하기 시작하였으며, 구체적인 사물 혹은 실천을 통하며 진리를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이제까지 조선의 천문, 역학, 지리, 수학, 의학 등의 자연과학 성과를 연구했을 뿐 아니라, 자기 나라의 정치, 경제, 군사, 교육, 문학, 음악 등의 연구에 주의를 기울여 이것들을 실학의 내용으로 삼았고, 부국유민을 위해서는 반드시 외국의 선진 과학, 기술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주칠성, 『조선시대 철학사상』, 한국학술정보, 2005, p.45~48
③이전에 획득된 진보적 사회정치사상을 이론적 전제로 함
조선전기의 사회, 정치사상 중에서 실학사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조광조와 이이의 변법 사상이었다. 16세기에 중소 지주계급의 이익을 대표한 조광조 등 ‘사림파’는 상황발전의 요구에 적합지 않은 부분은 마땅히 변통되어야 한다는 변법하상은 당시 및 후세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이이는 조광조의 변법사상을 계승하고 애민(愛民),중민(重民)사상에 기초하여 보수주의에 반대하고 사회개혁사상을 제기하였다. 그는 예로부터 많은 백성들을 가난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안락한 생활을 누리게 하는 것이 부국유민의 급선무였다고 생각하였다. 주칠성, 『조선시대 철학사상』, 한국학술정보, 2005, p.48
이어 홍대용도 실학개념의 완성에 중대한 역할을 하였는데, 그는 제일 먼저 ‘실학’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자기의 학문을 설명하고 자기의 학문을 ‘실학’이라고 천명하였다. 그는 무릇 사회에 유익한 자연과학과 기술 및 농업, 군사, 역법, 음악 등의 학문을 모두 실학이라고 보았다. 주칠성, 『조선시대 철학사상』, 한국학술정보, 2005, p.52
실학개념이 완성되는 데는 실학의 집대성자 정약용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는 18년간 유배생활의 어려움 속에서도 계속하여 유교경전을 방대하게 고증하고 실용위주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그 실용위주의 학문범위를 정치, 경제, 군사, 법률, 역사, 지리 등 사회과학과 천문, 수학, 역학, 광학, 의학, 물리학 등의 자연과학까지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대하였다. 아울러 그는 스스로 기술을 생산과 생활에 운용하여 사회에 기여하는 등 실학개념의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주칠성, 『조선시대 철학사상』, 한국학술정보, 2005, p.5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