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부제 : Patterns and Ecological Meanings of “Voluntary Poverty” 1. 서론 2. ‘자발적 가난’과 관련된 용어 3. ‘자발적 가난’의 양상과 의미 5. 결론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
|
|
국문초록 |
자발적 가난은 산업자본주의가 낳은 인간의 무절제한 소비 만능주의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또한 심화되는 생태위기와 인간들끼리의 무한 경쟁에 저항하는 적극적 저항운동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종교적 접근이나 동양사상의 전통 속에서 연구되는 몇 편의 연구 외에 관심은 적었다. 이로 인해 비슷한 용어가 연구자의 개인적 취향에 따라 사용되고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에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용어의 측면에서, ‘자발적 소박함’은 삶의 태도에 대한 변화를 구체화하고 있다는 철학적 함의를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급격한 생태파괴의 현실에 대응하기에는 매우 온건하다는 문제점과 ‘가난’에 비해 개인의 편차를 쉽게 용인하게 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가난’이라는 용어가 내포하고 있는 절대적 빈곤의 의미는 스스로 선택한다는 뜻의 ‘자발적’이라는 수식어가 선행하고 있어서 그 의미를 소거할 수 있다. 자발적 가난의 시작은 지금까지 존 레인이 언급한 리처드 그레그로 알려져 왔으나 ‘자발적 소박함’을 동의어로 써왔다는 점에서 소로가 쓴 『월든』이 앞선다는 점을 본 연구는 밝혔다. 자발적 가난은 지구 자원의 고갈과 생태파괴 문제, 거대 기술문명이 가져오는 인간소외문제, 나아가 이러한 현상에 기인한 경제성장과 정서적 만족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 자발적 가난의 주요 내용은 인간의 거대한 소비욕망에 대한 각성, 물질세계의 가난과 정신세계의 풍요로움이 서로 조화를 이룸, 인간적인 기술에 의한 소규모 노동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자발적 가난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현재 발생하는 전 구적 생태위기를 개인적으로 자각하고 이를 추구하는 사람들에 동조하며, 사회·국가적 정책 지원을 통해 자발적 가난 운동을 확장해야 한다. 생태주의가 다른 문예사조나 문예운동과 다른 점은 그것이 가지는 실제생활의 변화, 즉 생태윤리로 발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태생적 특성에 있다. 자발적 가난은 오늘날 전 지구적 생태위기 속에 하나의 삶의 원리이자 인간의 근본적 가치 변화를 추동하는 유의미한 흐름이다.
|
|
|
영문초록 |
“Voluntary poverty” makes a demand for fundamental changes to people’s immoderate consumption fundamentalism born out of industrial capitalism. It is also an active resistance movement against the deteriorating ecological crisis and infinite competition between people. There has been, however, little interest in it except for a couple of researches with a religious approach or based on the tradition of Oriental ideology. As a result, similar terms are chosen according to individual researchers’ personal taste with confusion emerging in specific content or methodology. In the aspect of terms, “voluntary simplicity” recognizes a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specifying changes to people’s life attitude. It, however, has its share of limitations such as being very moderate in dealing with the reality of rapid ecosystem destruction and tolerating individual deviation more than “poverty.” The meanings of absolute poverty connoted in the term “poor” can be erased by the preceding modifier “voluntary,” which means one’s own choice. It has been known that “voluntary poverty” began with Richard Gregg mentioned by John Lane, but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oreau’s Walden came before it in that it used “voluntary simplicity” as a synonym. “Voluntary poverty” stemmed from the issues of the exhaustion of the Earth’s resources,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human alienation due to the massive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further the imbalance between the economic growth and emotional satisfaction at the result of those phenomena. The major content of “voluntary poverty” can be summarized as awakening to the huge consumption desire of people, harmony between poverty in the material world and abundance in the spiritual world, and small-sized labor thanks to human technologies. Finally, the practice of “voluntary poverty” involves realizing the current Earth-wide ecological crisis at the personal level, agreeing with people in pursuit of it, and expanding the “voluntary poverty” movement through social and national policy supports. Ecologism is different from other literary trends or movements for its original characteristic of having to evolve into ecological ethics or changes to the real life. “Voluntary poverty” is a principle of life in today’s ecological crisis across the Earth and significant flow to drive changes to the fundamental human values.
|
|
|
자발적 가난, ecological crisis, ecological ethics, 조화, 생태윤리, voluntary poverty, 소비욕망, harmony, consumption desire, 생태위기, ecologism, 자발적 소박함, 생태주의, voluntary simplicity |
|
|
도움말 |
본 논문은 참고용 논문으로 수정 및 텍스트 복사가 되지 않습니다. |
|
|
추천자료 |
[공교육] 공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자치단체의 환경정책과 환경운동의 방향 |
[교육사회학] 환경주의와 교육문제 |
[탈식민성][희곡][아나키즘][문학비평][김지하][도가철학][문헌정보][탈식민지]탈식민성과 희곡, 탈식민성과 아나키즘, 탈식민성과 문학비평, 탈식민성과 김지하, 탈식민성과 도가철학, 탈식민성과 문헌정보 분석 |
[사회학] 내가 살아가고 있는 한국사회분석하기 |
한국시민사회의 역사, 특징, 한국시민사회의 발전과정, 한국시민사회의 정치세력화, 한국시민사회의 불복종운동, 한국시민사회의 문명전환운동, 한국시민사회의 반부패공직운동, 향후 한국시민사회의 개선 방향 |
[교육사회학]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접근 및 대안학교 |
[시민단체, 비정부기구, NGO] 시민단체, 비정부기구(NGO)의 발달, 역할, 위상과 시민단체, 비정부기구(NGO)의 문제점 및 향후 시민단체, 비정부기구(NGO)의 성과, 과제, 전망 분석 |
[정치]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과 시민사회 |
|
 |
|
|
|
|
|
저작권 정보 |
|
본 학술논문은 ㈜누리미디어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HAPPY학술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