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부제 : Korea-China Joint Research for 5G Evaluation Methodology including 5G Channel Modeling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5G에 대한 양국의 이해 Ⅲ. 5G 평가방법 요약 Ⅳ. 쟁점 사항 및 해결 Ⅴ. 결론 References
|
|
|
국문초록 |
2015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2년 동안 한국과 중국은 “한중 5G 초고주파 요소기술 공동 연구 및 표준화 추진기반 국제협력”이라는 5G 무선통신과 관련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6년 2월부터 ITU-R WP5D에서 IMT-2020시스템을 평가 기준 및 방법론을 논의하기 시작하였고, 각각 2017년 2월과 6월에 최종 마무리가 되어 2017년 8월 현재 공식적인 승인절차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러한 ITU-R WP5D의 일정에 맞추어 양국은 5G 채널 모델링을 포함한 평가방법론에 대해 국제회의에서 협력 및 의견 교환을 하였다. 5G에 대한 여러 기술적 이슈에 대해서 한국과 중국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었고, 공동연구를 통하여 양국은 이익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선에서 각자 원하는 내용이 최대한 ITU-R 국제 표준에 반영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양국의 달랐던 입장과 그 원인, 그리고 서로의 의견이 어떻게 조율되어 최종 표준에 반영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추후 공동연구방향에 대해 논의 한다. |
|
|
영문초록 |
From June 2015 to May 2017, Korea-China joint project, “Korea-China bilater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mmWave core technologies for 5G standardization” has been conducted. This collaboration project is aligned with ITU-R WP5D schedule for standardization of IMT-2020 (5G) evaluation methodologies. ITU-R WP5D had begun the task of evaluation methodology February 2016, and finalized the report June 2017. Through the collaboration project, two countries cooperated in the standardization activities and shared the opinions. Basically, as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views and interests on 5G, most of the cooperation effort is to reflect each country’s opinion in ITU-R report, while minimizing the conflict between two countries. This paper explains how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views on 5G and the reason behind those, and how those different ideas are harmonized. Directions of further joint research are proposed. |
|
|
도움말 |
본 논문은 참고용 논문으로 수정 및 텍스트 복사가 되지 않습니다. |
|
|
 |
|
|
|
|
|
저작권 정보 |
|
본 학술논문은 ㈜누리미디어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HAPPY학술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