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부제 : Conformance Test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Korean e-Call Standard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e-Call 서비스 및 연구현황 Ⅲ. e-Call 기능적합성 시험시스템의 구현 Ⅳ. 결론 References
|
|
|
국문초록 |
e-Call 서비스란 교통사고 발생 시 차량 내 e-Call 단말기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차량의 사고 정보를 관제 센터로 송신하여 효과적인 사고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절차를 말한다. 유럽과 러시아는 교통사고 사망자 및 중상자를 줄이기 위해 이러한 e-Call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한국도 다부처 공동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우리나라 교통 및 통신 환경을 고려한 한국형 e-Call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말 제정된 한국형 e-Call 시스템의 기술표준을 분석하고 한국형 e-Call의 기술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형 e-Call 장치의 기능을 시험할 수 있는 시험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
|
영문초록 |
The e-Call service is a series of procedures that allow an e-Call terminal in a vehicle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transmit accident information of a vehicle to a control center in case of a traffic accident so that an effective incident response can be made. Europe and Russia started their own e-Call service in phase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and casualties. Korea is also developing and standardizing e-Call technology for Korean e-Call that considers Korea’s traffic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through R&D projects fund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analyzes the technical standards of the Korean e-Call system that was enacted at the end of 2017 and summarize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Call. Based on this, we implemented the test equipment that can test the functions of the Korean e-Call in-vehicle device. |
|
|
도움말 |
본 논문은 참고용 논문으로 수정 및 텍스트 복사가 되지 않습니다. |
|
|
 |
|
|
|
|
|
저작권 정보 |
|
본 학술논문은 ㈜누리미디어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HAPPY학술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