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부제 : Accessibility Analysis Method based on Public Facility Attraction Index Using SNS Data Abstract 초록 1. 서론 2. 공공시설 매력도지수에 따른 접근성 분석방법 3. 실험 및 결과 4. 결론 References
|
|
|
국문초록 |
In order to expand the qualitative aspects of public facility, this study used SNS data to derive user-oriented preference factors for public facilities and then were quantified in terms of supply side and demand side. To derive preference factor, LDA, one of topic modeling, was used and attraction index was calculated for each facility. In addition we analyzed spatial accessibility to measure the degree of service experience of users by using 2SFCA model. The study area covered public libraries of Seoul, Korea. As a result of study, five topics were extracted as preference factors for the public library: Circumstance, Scale of facility, Cultural program, Parenting, Books and materials. In particular topic of circumstance and parenting were newly derived preference factors unknown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calculating attraction index for each library, the index of Songpa Library, Jungdok Library, and Namsan Library was high. Songpa library has received good evaluation in parenting factor, and Jungdok & Namsan library in circumstance factor. The accessibility of each region seems to better in center of Seoul where public libraries are crowded, but shrinking toward the outskirts. We expect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contribute to user-oriented public facility evaluation and policy decision making. |
|
|
영문초록 |
본 연구는 공공시설의 질적인 측면의 확대를 위해 SNS (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 중심의 공공시설 선호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에서 정량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선호요인 도출을 위해 토픽모델링 중 하나인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를 활용하였으며, 공급요인인 개별시설별로 매력도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수요자 입장에서 서비스체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공간접근성을 분석하였는데, 2SFCA (2-Step Floating Catchment Area) 방법을 활용하여 앞서 제안한 공공시설 매력도지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에 대한 선호요인으로 주변 환경, 시설 및 이용규모, 문화 프로그램, 육아, 장서 및 자료현황의 5가지 주제가 추출되었으며, 주변 환경이나 육아관련 주제는 새롭게 도출된 선호요인으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각 도서관별로 매력도지수를 산출한 결과 송파도서관, 정독도서관, 남산도서관의 매력도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송파도서관은 육아요인에서 정독도서관과 남산도서관은 주변 환경요인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동별 공간접근성은 공공도서관이 많이 몰려있는 서울 중심부의 접근성이 좋은 편이며,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에 제안한 기법을 통해 이용자 중심의 공공시설 평가 및 정책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
|
도움말 |
본 논문은 참고용 논문으로 수정 및 텍스트 복사가 되지 않습니다. |
|
|
 |
|
|
|
|
|
저작권 정보 |
|
본 학술논문은 ㈜누리미디어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HAPPY학술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