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부제 : Fast Baseball Player Location Detection System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Real Time Broadcast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3. 제안 시스템 4. 성능 평가 5. 결론 References
|
|
|
국문초록 |
본 논문에서는 야구 경기 영상에서 딥 러닝 기법들 중 영상 인식에 적합한 CNN을 사용하여 야구 선수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객체의 위치 검출을 위한 기존의 영상 처리 기법들 중 다수는 영상 프레임 사이의 차영상이나 객체의 윤곽을 얻는 방법들을 사용해왔지만, 야구 중계와 같이 다양한 기후와 배경을 모두 고려하여 실용화하기에는 추가적인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경우에 움직이는 객체의 위치를 빠르게 학습하고 검출하기 위해 이진 블록 영상을 적용하였고 학습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 영상을 추가로 생성하는 데이터 증강 기법을 사용하였다. 선수 위치의 정확도 평가 척도는 목표 객체의 중심점과 지능망을 통해 검출된 확률 중심과의 거리를 평가 척도로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의 평균 거리가 2.92픽셀로 Faster R-CNN의 평균 거리인 3.35보다 0.43픽셀이 낮아 선수의 위치 검출 정확도가 높으며, 수행 속도도 제안한 방법이 Faster R-CNN보다 69.93배 빠름을 보여준다. |
|
|
영문초록 |
The paper proposes a player location detection system in a baseball game broadcast. Location detection system uses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suitable for image processing among diverse deep learning systems. To train the location of a player faster and accurately, we choose binary block labeling instead of the commonly used edge detection methods. Data augmentation method, which generates additional training images was applied to increase the degree of accuracy.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sition of the target and the output position by neural network was used to measure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pixel distances between center of target position and one of output are 2.92 and 3.35 in the case of the proposed method and Faster R-CN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xecution time of the proposed method was established to be 69.93 times faster than that of Faster R-CNN. |
|
|
도움말 |
본 논문은 참고용 논문으로 수정 및 텍스트 복사가 되지 않습니다. |
|
|
추천자료 |
2011년창업아이템(오피스텔임대사업,정보검색대행업,파티관련사업,보디가드사업) |
2017년.5월 최신시사상식 |
[A+]SNS 기능, 분류, sns 현황 동향, sns 기업에 미친영향, sns 사례, sns 장점 단점, sns 발전방향, 소셜커머스 |
[신문분석] 신문1면 종합정치면 국제 사회 경제 다섯개면의 공통기사, 차이기사 분석 |
성공하는 리더란 무엇인가!!! |
[인문사회계열] 미디어와 스포츠에 관한여 |
[국제경영] 다국적 기업의 기술 이전 |
미디어와 스포츠 |
광고매체 조사 레포트 |
방송저널리즘에서 기자와 프로듀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
|
 |
|
|
|
|
|
저작권 정보 |
|
본 학술논문은 ㈜누리미디어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HAPPY학술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