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초록
연구목적: 내성의 가능성이 낮은 광역학치료는 기존의 물리적 치료나 약물치료를 대신하거나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Erythrosine은 치과에서 흔히 사용하는 제제로 광역학치료에 있어 광감작제로 사용가능성이 이미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4가지 파장의 LED 광원을 이용하여, 우식원인균을 대상으로 단축된 조사시간에서 가장 적합한 파장의 광원을 찾아내고 그 효과를 비교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광감작제는 erythrosine을 사용하였고, 광원으로는 청색(465 nm), 녹색(525 nm), 황색(590 nm), 적색(630 nm) 3 W power LED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 우식원인균은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을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세균 5×105 CFU/mL을 배양하고(350 μL/well), 5 μMerythrosine을 넣고 각 파장의 광원으로 직경 6 mm로 10 mm 거리에서 10초간 조사하였다. 조사후 세균은 PBS로 희석하여 blood agar plate에 도말하고 37oC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CFU 단위로 측정하였다. 효과는 광감각제와 광원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생존율로 비교검토하였다. 연구결과: S. mutans에 대한 생존률은 광원의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녹색과 청색에서 살균효과가 우수한 경향이 있었다. S. sobrinus에 대한 생존률은 녹색과 청색 광원이 적색과 황색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새로 고안한 3 W power LED는 erythrosine을 이용한 광역학치료에서 10초라는 단시간 동안 녹색(525nm)과 청색(465 nm) 파장에서 S. mutans와 S. sobrinus에 대하여 우수한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추천자료
치아 우식원성 세균 배양
치아 우식원성 세균 배양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향신료 식물
식품과 당질00 레포트
칫솔모양에 따른 치아세정능력 실험
[자연] 구강질환에 대해서
[발효식품학] 대두발효식품의 기능성
[질환][질병]질환(질병)과 골반염증성질환, 근골격계질환, 질환(질병)과 심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질환(질병)과 감염질환, 질환(질병)과 구강질환, 질환(질병)과 아동질환, 질환(질병)과 노인만성질환 분석(질환)
[구강][구강보건사업][구강악습관][구강병예방][구강위생][구강보건][구강보건교육][구강간호][구강질환]구강보건사업, 구강악습관, 구강병예방, 구강위생, 구강보건, 구강보건교육, 구강간호, 구강질환, 구강관리
PBL 조사 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