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배경: 메밀가루(Fagopyrum esculentum)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 주로 국수의 재료로서 식용으로 이용되어 이 지의 중요한 음식물 알레르겐으로 지목되었던 식품으로 메밀가루에 의한 알레르기는 두드러기/혈관부종부터 아나필낙시스까지 다양한 임상상을 보이며 그 임상적 중요성이 부각되어 있다. 연자들은 최근 천식, 아토피피부염이 있던 환자에서 메밀가루에 의한 천식발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15세 남자가 내원 30분전부터 시작된 호흡곤란과 경련을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과거 천으로 진단받고 간헐적으로 fluticasone/salmeterol diskhaler를 사용하던 환자는 내원 2시간 전에 메밀이 포함된 학교급식을 먹고, 내원 3분 전부터 호흡곤란 있어서 구급차를 통해서 응급실로 내원하였고 내원 후 2차례의 경련이 있었다. 내원 8년 전에 천식,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받았고, 2년 전에 냉면 먹은 40분 후에 호흡곤란과 두드러기로 본원응급실 내원하여 음식물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진단을 받았다. 응급실 내원당시혈압 124/96 mmHg, 맥박 142회/분, 호흡수 16/분, 체온 36.6도이었고 의식은 없었다. 청진상 전폐야에 천명음이 들였으며 신경학적 사상특이 소견은 없었다. 동맥혈가스 검사에서 pH: 7.09, PaO2 66 mmHg, PaCO2 91mHg, 산소포화도 83%이었고, 말초혈액 백혈구수는16,280/ul(호산구 10.6%), 혈색소 16.6g/dl, 혈소판 232,000/ul이었고, 다른 생화학적 검사와 Brain CT, 흉부단순촬영, 부비동촬영은 정상범였다. 즉시기관삽관 후 기계환기를 시작하였고 전신적인 스테로이드와 기관지확장제를 투여 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다. 입원 후 시행한 40종의음식물항원에 대한 피부단자시험에서 시금치이외에는 밀가루, 호밀가루, 보리, 귀리에 대해서는 음성반응을 보고, allergenspecificimmunoglobulin (UniCAP)검사에서 메밀항원에 대한 양성반응(class 3: 13.2 RU/ml)을 보였다. 흔한 흡입성 항원에 대해서는 집먼지드기(Dp, Df)에는 강양성, 두드러기 쑥, 쑥 꽃가루, 곰팡이(Aspergillus fumigatus), 오리나무에 대해서 양성을 보였다.(내원 6년 전과 년 전에 본원소아과에서 시행한 allergen specific immunoglobulun (UniCAP)검사에서 집먼지 진드기(Dp:Class 5, Df;Class 6), Aspergillus(Class3), 두드러기 쑥과 개비듬(Class 2)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total IgE는 1,682 KU/L이었다). 중환자실에서 2일간의 기계환기 후 호전되어 병실서 3일간입원 후 메밀에 의한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육 후 퇴원(당시 폐기능은 정상이었다)하여 현재는 fluticasone/salmeterol diskhaler로조절하며외래 추적 중이다.
추천자료
[기관지][기관지암][기관지염][기관지천식][소아 기관지천식]기관지의 구조, 기관지암,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소아 기관지천식 분석
[식품 알레르기] 식이성 알레르기 질환 - 식품알레르기의 원인과 증상, 알레르겐의 종류, 식품 알레르기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천식, 천식치료, 천식환자] 천식의 의미, 천식의 유발원인, 천식의 대표적 증상, 천식의 진단, 천식의 치료 방법, 천식환자의 간호 방법 분석
[아동간호] 천식 아동 간호 계획
[케이스스터디][폐질환][간세포암][갑상선암][뇌출혈]폐질환 케이스스터디(CaseStudy), 간세포암 케이스스터디(CaseStudy), 갑상선암 케이스스터디,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뇌경색, 담낭염 케이스스터디 분석
의대 본과 4학년 PK과제 호산구성 폐질환
[지역사회 간호학] 지하상가 상인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건강문제와 간호사정
[한의학][한방2내과] 위막성 대장염을 보인 중풍 환자
[한의학][한방2내과사례] 연하장애를 호소하는 뇌경색 환자
[가족과 건강] 수면장애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