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정신현상학> 서론에서 헤겔은 의식의 경험을 통해 새롭고 참된 대상이 출현한다고 말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헤겔은 방법적으로 규정적 부정을 사용한다. 초점은 규정적 부정이 어떤 점에서 이전 대상의 비진리성을 비판하고 새로운 대상의 진리를 서술하는가에 맞춰진다. 규정적 부정은 어떤 점에서 이전에 없던 긍정적인 내용을 새로운 대상에 부여하는가?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대상의식이 어떻게 규정적 부정을 통하여 새로운 대상의식으로 이행하는지 그 과정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규정적 부정은 이중부정이나 ``규정은 부정이다``과 달리, ``특정한 내용의 부정``과 ``부정의 결과의 규정``이라는 양 측면을 지닌다. 이러한 이중성은 의식이 즉자적 대상에 접하여 행하는 경험에서 즉자가 ``즉자의 의식에 대한 존재``로 이행하는 문제 그리고 ``즉자의 의식에 대한 존재``가 참되고 새로운 존재로 이행하는 문제를 해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자는 ``우리의 추가``로 인한 가상으로서, 규정적 부정은 이러한 가상의 비판과 후자의 진리를 설명하는 핵심축으로 작용한다. 즉 이전 대상의 비진리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대상의 진리에 대한 서술이 규정적 부정에 의해 통일적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사실은 규정적 부정의 부정 행위가 단순히 ``어떤 것은 어떤 것이 아니다``가 아니라 ``어떤 것은 어떤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이다``라고 판단하여 긍정적인 내용을 정립하는 데에서 가능하다. 어떤 것의 비진리를 비판하기 위해서는 그 진술의 토대에 긍정적인 진술이 전제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서 부정대상의 내용성과 부정 결과의 긍정성이 하나로 연결된다. 따라서 규정적 부정은 이중부정이라는 단계적인 부정이 아니라, 하나의 부정 행위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에서 이중적으로 언명한 것, 즉 부정된 대상의 측면과 규정하는 진리의 측면에서 조망한 개념이다. 따라서 의식의 경험에서 새로운 대상(내용)의 출현은 방법적으로 이중부정이 아니라 규정적 부정을 통해서 설명될 수 있다.
영문초록
Warum hat die betimmte Negation in der Erfahrung des Bewusstseins einen positiven Inhalt? Die Antwort darauf diese Frage besteht darin, daß in die Negation die Wahrheit des unthematisierten Gegenstandes als Moment einbezogen ist. Damit ist der Ubergang des Ansich zum fur-das Bewusstsein-Sein des Ansich einerseits die Kritik an dem vorausgehenden, bereits thematisierten, unwahren Gegenstand, andererseits aber die Darstellung des wahren Gegenstandes, der als der neue Gegenstand entsteht. Daß die Negation des ersten Gegenstandes nicht zum leeren Nichts wird, sondern ein Positives, einen neuen reicheren hoheren Begriff produziert, wird dadurch erreicht, daß die Negation ein Subjekt braucht, das den ersten als das Unwahre beurteilen kann; sie ist keine blosse Verneinung in der Weise, daß Etwas nicht Etwas ist, sondern enthalt eine positive Aussage in der Weise, daß Etwas sowohl ``nicht Etwas`` als auch ``etwas Anderes`` ist. Die Aussage von der Unwahrheit des Etwas ist ohne die ihr zugrundeliegende positive Aussage unmoglich. Das ist eben die Einheit der Inhaltlichkeit des Negationsgegenstandes und der Posotivitat des Negationsresultats. Die Doppeldeutigkeit der bestimmten Negation ist keine doppelte Stufenfolge der Negativitat, also keine stufenweise auftretende Operation der ersten und zweiten Negation, sondern nur die doppelseitige Aussage eines Negationsaktes, die einmal vom negierten Wissen(dem unwahren Gegenstand) her, einmal von der negierenden Wahrheit(dem wahren Gegenstand) her betrachtet wird. Daher stellt sich die Entstehung des neuen Inhalts sowie des neuen Gegenstandes nicht durch die doppelten Negation her, sondern durch die eindeutige Neagtion, d.h. die bestimmte Ne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