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초록
This study examined divorced single-mothers` adjustment after divorce by nonresident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fter divorce and their coparental relationshi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0 divorced mothers who were divorced within last five years and were raising at least one minor child. According to the mothers` report, the nonresident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after divorce in terms of child support and visitation was very low. Variables that were related to divorced mothers` parental stress and adjustment after divorce were different.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work-to-family conflict, family-to-work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parenting circumstance including custody, child support, and nonresident father visitation were associated with divorced mothers` parental stress. However, the variables of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coparen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were related to divorced mothers` adjustment after divorce. The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and service delivery were discussed.
추천자료
소설 세월을 통해 본 한부모 이혼가족 자녀의 삶의 적응과정에 대해
[아동복지론] 이혼 후 자녀양육에 관한 부모역할
[한부모가족] 소설 `세월`을 통해 본 한부모-이혼가족 자녀의 삶의 적응과정에 대해
[이혼적응교육] 이혼의 결과, 이혼 후 적응단계(이혼후 적응과제, 슬픔의 단계), 이혼 후 적응교육
[이혼적응] 이혼에 대한 적응과정(이혼에 대한 정서적 반응, 이혼 후의 적응,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이혼가정의 경제상태 및 양육행동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정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부모양육태도, 아버지 양육참여, 이혼가정, 아동학대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이혼 후 적응 레포트
이혼 후의 자녀양육에 대한 법적 검토(법학)
자신의 주변에서 입양가족, 한부모가족, 이혼가족 중, 한 가족(가족 구성원)을 만나 인터뷰를 통해 가족의 강점을 발견해 보고, 가족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살펴본 후 지원방안을 모색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