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으로 보호 또는 보장 받아야 할 대상과 그러한 보호 또는 보장의 범주는 과연 어디까지인지, 그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발달과정의 차이를 확인하여, 그들의 학업 성취 부분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문제점들을 짚어보고, 그러한 것들을 고려하여 공보육 실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은 어떠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할지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다문화가정의 영유아가 있는 보육시설에 재원 중인 영유아 및 보육교사, 해당 보육시설에 재원중인 다문화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하여 일반가정 아동과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비교분석 자료로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ANOVA 분석을 하였다.
영문초록
With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of children is recognized. Through literary reviews of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variety of issues, such as the range of protection through policies on multicultural families, the extent of such protection, the current difficulties facing multicultural families, areas of problems for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conditions of children,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policies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The developmental statu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homes was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homes. Although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on the difficulties of raising children of multicultural homes by surveying parents and teachers, there were difficulties in selecting the proper survey tools due to the unsystematic organization of previous studies.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AN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