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지식화의 진전에 따라 정부의 지식화 활동과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책공간에서 그 지세와 영역이 구체화되고 있는 지식정책은 지식화의 자극에 대응하여 법률, 계획, 대책, 방안 등 다양하게 표현된 정부활동의 누적적 산물로서 동태적 변동양상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정책현상에 투영되고 있는 지식정책에 대한 이론적 연구의 척박함의 극복이라는 문제인식에서 이루어졌다. 경험적 행정현상에서 지식정책은 정교(精巧)·미분화(微分化)되고 있지만, 정책인식의 창으로서 지식정책연구는 단순(單純)·미분(未分)한 실정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지식정책에 대한 실질적 지식의 제공뿐만 아니라 지식정책의 독자성 확보의 일환으로 그 생성맥락을 고찰하고, 이론적 정체성을 탐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