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장횡거 철학에서 전후 맥락 없이 제시된 ``心統性情``은 주자에 이르러 절대 진리로 받아들여졌고, 그래서 주자철학 ``심성론``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주자철학에서 情은 氣이고, 性은 理다. 性은 至善이지만 情에는 선한 情도 있고 악한 情도 있다. 情이 性을 따르면 선한 정이 되고, 性을 따르지 않으면 악한 정이 된다. 그러나 情은 스스로 자신을 통제할 수 없고, 또 性을 지각할 수도 없다. 性을 知覺할수 있는 능력은 心에 있다. 心이 性을 지각하여, 情으로 하여금 性을 따르도록 주재해야 한다. 따라서 ``統``을 ``주재하다`` ``겸하다`` ``포괄하다`` 등의 의미로 해석할 때, 心이情을 주재하여 性을 따르도록 주재할 수 있고, 겸할 수 있고, 포괄할 수 있다. 그러므로 ``心統情``은 가능하다. 그러나 ``心統性``은 안 된다. 왜냐하면 性은 形而上이고 心은 形而下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심통성정``설에서 心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이것이 주자의 ``心統性情``설이다. 마일부의 ``심통성정``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자와 마찬가지로 ``心卽理``라고 하면 情을 둘 곳이 없기 때문에서 ``心卽理``설에 대해 비판적이다. 둘째, 주자와 마찬가지로 性을 ``心의 본체(心之體)``로 情을 ``心의 작용(心之用)``으로 파악했다. 셋째,天命之性(횡거의 義理之性)·氣質之性을 ``心統性情``으로 이해했다. 즉 氣質之性을 변화시켜 본연의 선 즉 天命之性을 회복하는 것이 ``심통성정``의 의미다. 天命之性과 氣質之性을 하나의 性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주자와 같다. 그러나 주자는 天命之性·氣質之性을 ``心統性情``과 연결시키지 않았다. 넷째, 주자철학에서 ``虛靈不昧``는 ``心의 오묘한 작용(氣)``을 형용하는 개념이지만, 마일부는 둘로 구분하여 ``虛靈``을 氣로, ``不昧``를 理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허령불매``를 理氣를 ``兼``해서 한 말이라고 했다. 이 또한 ``심통성정``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해석이다. 이와 같이 마일부는 ``심통성정``에 대한 해석 방식을 天命之性·氣質之性에도 적용시키고, 또 ``허령불매`` 해석에도 주자와는 다른 의미를 부여했다.
영문초록
在張橫渠哲學里前后連不上的``心統性情``,直到朱子被接受爲絶對的眞 理,因而타在朱子哲學心性論的范疇中占有흔重要的地位。 朱子哲學里的情是氣,性卽是理。性代表至善,情則可分善情與惡情。若 情從性,便成爲善情,若不從性則成爲惡情。然而情不會控制自己,又无法 知覺到性。究竟能否知覺性,全고心的。應該由心知覺性,倂要情從性。因 此,要是把``統``字解釋爲``主宰``,``兼作``,``包括``等的意思,心就主宰情從性, 也就可以兼作性,又可包括性。在此意義上,心能統情。但不可能有心統 性。因爲性是形而上,而心則形而下。像這樣,在``心統性情``理論中心占有 極其重要的位置。這就是朱子的``心統性情``。 馬一浮的``心統性情``主要有如下的內容: 第一,由于若與朱子相同說``心卽 理``,就沒地方放情,所以對``心卽理``持有批評的態度。第二,有如朱子把性 視爲心之體,把情解爲心之用。第三,把天命之性(橫渠之義理之性)與氣質 之性都視爲``心統性情``。改變氣質之性而恢복타原有的善卽天命之性,這就 是``心統性情``之涵義。他把天命之性與氣質之性看成一個性,這一点是與朱 子相同的。但朱子倂沒有把天命之性氣質之性此兩者與``心統性情``連在一起 的。第四,朱子哲學里所說的``虛靈不昧``一般是一個形容心之用的槪念,但 馬一浮却把타分成兩個,把``虛靈``視爲氣,把``不昧``則解爲理。他基于這点指 出``虛靈不昧``是兼作``理氣``而說的。這也是根据``心統性情``解釋的。 總上所述,馬一浮旣重釋``心統性情``與天命之性,又給``虛靈不昧``以新的解釋。
추천자료
동양윤리사상의 의해(조현규) 내용정리 50page
[동양철학] 신유가(주희의 철학과 사상)
가정소설의 갈등구조와 그 의미
장재의 심통성정론
주자학의 리 본체론과 도덕형이상학
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의 학문과 사상
[역사]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의 학문과 철학세계
[한국사상] 심설논쟁
[성리학의 발전][성리학 개념, 성리학 특성, 성리학 이황, 성리학 기대승, 성리학 이이, 성리학 사칠 논쟁, 성리학 논쟁 배경, 성리학 논쟁 내용, 성리학 논쟁 전개, 성리학 발전 소개, 성리학 발전 조사]
[가전체문학] 고려시대 가전체 문학의 특징에 관하여 세 작품을 읽고 작품의 내용을 인용하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