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점검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합동평가와 관련된 이론과 제도를 고찰하여 리더십, 평가제도, 평가조직, 평가인력, 평가예산, 의사소통, 협력, 평가결과공개, 인센티브, 벤치마킹이라는 변수를 도출하였고, 이를 설문으로 구성하여 합동평가의 평가대상인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모든 지방공무원들이 합동평가에 대해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고, 우수직원 개인에 대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중앙부처와 행정안전부 간,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 평가 담당부서와 시책부서 간. 동료 간의 협력을 통해 합동평가에 적극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추천자료
[정책집행]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 집행실태 분석
[지방자치단체 경영][제3섹터경영]지방자치단체 경영평가, 지방자치단체 경영수익사업, 지방자치단체 제3섹터경영, 지방자치단체 레저스포츠경영, 지방자치단체 학교단위책임경영, 지방자치단체 공공요금경영
[지방자치] 지방자치단체 평가와 지방자치제도 발전 과제 분석
[행정법 사례] 판결 `승진임용직권취소처분취소청구`사례연구- 공무원 노조를 둘러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충돌
우리나라에서의 바람직한 지방분권에 대한 연구(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정보화 평가][행정정보화][병원행정][지방자치단체행정][지방행정]행정정보화 평가의 의의, 병원(의료기관)행정 정보화 평가, 지방자치단체행정 공무원서비스 정보화 평가, 지방행정 정보화 성과평가 분석
[지방행정] 국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수직적 통제와 수평적 통제
[지역사회복지론] 지방자치단체의 자원봉사 역할 연구
[정보사회]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평가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지방자치단체 경영수익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