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부산과 동부 경남 지역은 낙동강의 흐르는 물에서 상수원수를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대체 상수원이 없는 낙동강 하류 지역은 구조적으로 수질 사고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거듭되는 수질사고로 상수원에 대한 안정성 및 신뢰도 저하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있다. 이에 따라 부산과 동부 경남권에 안전한 식수원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부산·경남권 광역상수도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남강댐의 주변 지역인 사천시와 진주시의 반대에 부딪혀 광역상수도사업은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는 현실이다. 즉 수자원의 배분을 둘러싸고 지역 간 갈등이 유발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남강댐 물 문제를 둘러싼 갈등을 해소하여 이해관계자 간에 원만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제도적 차원의 현황 분석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정부가 일방적으로 또 일관성 없이 사업을 추진 하였고 또한 남강댐의 여유량 조사와 이수안전도 등 과학적인 평가가 가능한 사실판단에 관한 문제 역시 객관성을 확보하지 못해 물 분쟁이 격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만한 합의형성을 위해 객관적 차원 의 과학적 조사, 향후 사업진행 절차의 명확화, 지역 간 상생을 위한 광역적 차원의 거버넌스 체제의 구축, 현실적 보상제도의 마련 그리고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으로서 법 제정 등을 제안한다.
추천자료
[도시경제학] 부산의 도시문제와 도시정책
21세기의 국토비전과 전략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0~2020) 전문
4대강 사업 득인가 실인가
[자원경제학] 한국수자원현황과 대책
4대강 살리기 개요, 현황, 문제점, 찬성론, 반대론 및 발전방안
포스코 광양제철소 환경오염 문제를 통해본 지역 환경분쟁 해결의 지속성 부여 방안
[환경행정] 국내 환경분쟁
[광역][광역정부][광역행정]광역과 광역정부, 광역과 광역자치정부, 광역과 광역행정, 광역과 광역행정구역, 광역과 광역개발계획, 광역과 광역도시시설, 광역과 광역교통망, 광역과 광역상수도, 광역과 광역통신망
물절약 캠페인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