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논문은 미디어의 비매개성이 제공하는 몰입적 상황을 기초로, 몰입 그 자체의 효과보다는 미디어적 경험이 발생하는 상황에서의 자기반영적 의식에 주목하고 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디어 효과의 실재성과 가치는 그 가운데서 발생하는 경험 및 현실과 중재된 의식에 있음을 밝힌다. 논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사례로서 극도의 비매개적경험의 제공 장치들을 투영하고 있는 영화 속 장면들을 토대로 한다. 여기에서 발견 할 수 있었던 것은 극도의 미디어적 경험과 효과 속에서도 지각을 유지하기 위한 주체의식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이는 자아관여를 통해 끊임없이 자기반영적인 상황을 만들어낸다는 점이다. 신체와 정신의 동시성과 경력은 자아동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미디어의 단편성 문제 등 논의를 통해 미래 미디어 테크놀로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투명성의 비매개라는 극도의 상황에서 보다 근본적인 미디어 효과는 주체 몸과 정신 상태의 특수성을 인식함으로서 확립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Immersive Situation Provided By Immediacy Of Media, Would Focus On Immportance Of Self-reflexiveness Consciousness Occured By Media Experience Than Effects Of Immersion Itself. This Will Take Up Opinion That Substantiality And Value Of Media Effect Are Upon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Mediated With Reality. As A Case To Lead Discussion Would Base In Scene On Cinema Which Reflecting Machinery Equipments Offer Extremely Immediacy Experience. Things Are Detected In This Point Continuous Sustentation Of Subject Consciousness For Keep Perception In Media Experience And Effect, It Create Situation Of Self-reflexiveness Through Self-participation Continuously. Through The Dispute About Simultaneity And History Of Continuous Experience For Body And Mental Are Direct Influence Elements For Self-identity, Discuss In Fragmentary Issue Of Media, A Fundamental Media Effect Is Established By Recogniz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ody And Mental Condition In The Transparent Immediacy Of Futuristic Media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