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이 글은 현대 국어에서 동사와 접미사로 사용되는 ‘받-/-받-’을 통해 의미의 불분명한 경계와 연속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전 처리와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면 동사로 처리하기도 하고, 명사 뒤에 붙어 이를 서술어로 파생시킨다고 보아 접미사로 처리하기도 하였다. 이들의 선행어는 대부분 명사인데 이들은 서술성 명사와 비서술성 명사로 나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말뭉치의 용례를 통해 형태론적 구성과 통사론적 구성에 함께 쓰이는 ‘-받-/받-’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사와 접미사로 통용되는 ‘받-/-받-’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선행 어근에 따라 그 용법이 조금 달리 나타났다. 서술성 명사와 결합하는 ‘받-/-받-’은 형태론적 구성으로 사용되는 접미사와 통사론적 구성으로 사용되는 동사 모두로 사용되며 이들의 용법을 연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서술성 명사와 결합하는 ‘-받-’이 형태론적 구성인 접미사로서의 용법은 확인할 수 없었다.
영문초록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about the fuzzy boundary of meaning ``bat-`` and ``-bat-``.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examples-the morphological construction used as ``X-{bat}`` and the syntactical construction used as ``X{eul/leul} {bat}``-of Gyunhyung Malmungchi which constructed by the 21C Sejong Project. The examples of the Malmungchi show the two kinds of the {bat} which used as both a verb and a suffix. The usages of the two kinds a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ntecedents`` roots. The {bat} which combined with the predicative noun is used as both a suffix of the morphological construction and a verb of the syntactical construction. By contrast, the {bat} which combined with the non-predicate noun is not used as a suffix of the morphological construction-it is used as only a verb of the syntactical construction.
추천자료
[연구학교][연구][학교][연구학교활용]연구학교 의미, 연구학교 과정, 연구학교와 정보통신기술(ICT), 연구학교 사례, 연구학교 활용 방안
[국어의미론] 파생접미사 ‘-거리-’, ‘-대-’, ‘-이-’, ‘-하-’의 의미상관성 연구
[국어학연구사] 접사의 의미 연구사 -명사 형성 접미사를 덧붙여서
텍스트 의미구조의 과정 중심 분석 방법 연구
텍스트 의미 구조의 과정 중심 분석 방법 연구
의미 변화의 원리 규칙 불연속성 변화 요인 인지문법
내용 요약 - 21세기 국어의미론 연구의 방향과 과제 - 국어의미론
이상 소설에 나타난 산책의 의미와 근대성에 관한 연구 - 몸의 문제를 중심으로 -
[유아교육][유치원교육]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의미,필요성,공교육화,컴퓨터교육,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연구,행정체계문제,방향,제언
[국어교육] 국속의미론 연구와 한국어교육 - 이해능력의 신장을 위한 국속의미론 연구 및 번역(통역)능력의 신장을 위한 국속의미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