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의 협력 경험을 탐색하면서 특수학급 교사가 경험하는 협력의 의미를 특수학급 교사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급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는 자발적으로 협력 동기를 형성하고 협력에 참여하였다. 통합교육 장면의 이원적 구조에서 오는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원활한 정보 공유 및 소통의 필요성, 장애학생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교사 간 경험의 공유와 공동대처의 필요성은 특수학급 교사의 협력동기가 되었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는 협력의 장애요소로 교사 간 소통 부족, 의사결정과정에의 적극적 참여 부족, 협력범위에 대한 부족한 합의, 협력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 부족을 경험하였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는 협력 결과 장애학생의 성장과 통합학급 교사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넷째, 특수학급 교사는 반성적 성찰을 통하여 불완전한 협력자로서의 자기발견을 하였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clusive class teachers. For this study,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ampled and observed in classroom teaching.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 from dualistic structure of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and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to effective teaching in inclusive class affected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otivation to collaboration.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some collaboration barriers such as insufficient communication in decision making of suggestion-agreement, limited collaboration and unprepared collaboration.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the increment in achievement of disabled students and the positive change of inclusive class teacher after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Final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reflective introspection, found themselves insufficient collaborators who stuck to passive followership, small teaching, and prescribed just correcting answer.
추천자료
[장애인통합교육][특수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유형, 장애인통합교육의 기준과 장애인통합교육의 교사 간 협력, 장애인통합교육의 학습지원 및 장애인통합교육의 운영 그리고 장애인통합교육 관련 제언 심층 분석
통합교육의 협력적 접근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 및 협력내용,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서술 하시오
일반초등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 촉진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특수학급 졸업생의 직업배치와 직업유지방안에 대한 연구
장애아통합교육에대한찬성반대입장과 장애통합교육의장단점,통합교육나의생각,특수학급교사의역할,특수학급교사의자질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
통합교육의 장점과 단점, 통합학급 교사의 자질과 역할 분석
학급경영(학급운영)개념,원리, 학급경영(학급운영)방침,계획수립, 학급경영(학급운영)교사역할, 학급경영(학급운영)사례, 학급경영(학급운영)전략
[학교교육][공교육]학교교육(공교육) 개념,인간화,창의성계발,학급문고,학부모자원봉사활동, 학교교육(공교육) 실태,문제점,교사문제사례,정책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