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흉쇄관절 탈구는 견봉쇄골간 관절의 쇄골탈구에 비해 그 빈도가 낮으며 견관절의 모든 손상 중 3%를 차지한다. 특히 이 중 후방 흉쇄관절의 탈구는 매우 흔치 않은 경우이다. 저자는 외상성 흉쇄관절의 후방탈구를 영상 증폭 장치 감시하에 비관혈적 정복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에 대한 보고를 하는 바이다.
영문초록
Compared with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dislocation of the clavicle at its sternal end is uncommon and accounts for 3% of all injuries to the shoulder girdle. Furthermore, the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is relatively a rare injury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sternoclavicular dislocation. We report this case since we have experience with similar cases of traumatic posterior dislocation at the sternoclavicular joint, which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x-ray guided reduction.